2권 1책. 석인본. 1964년 9대 손 정걸(廷杰)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화식(鄭華植)의 서문이, 권말에 후손 덕걸(德杰)과 채일(埰一)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54수, 서(書) 14편, 잡저 6편, 서(序) 1편, 기(記) 2편, 찬(贊) 2편, 제문 2편, 상량문 2편, 유사 2편, 유묵(遺墨) 1점, 권2에 부록으로 서(序) 1편, 만사 7수, 제문 3편, 후지(後識)·묘갈명·가장·행장·묘지명·축문·기(記)·상량문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이휴정견회(二休亭遣懷)」는 은월봉(隱月峰) 아래에 정자를 짓고 공부할 때의 심경을 읊은 것으로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사상이 나타나 있다. 잡저 중 「거가요어(居家要語)」는 일상생활의 수칙(守則) 21개 조항을 적은 것이고, 「독서규례(讀書規例)」는 독서할 때 유의할 점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유사의 「족조제월당공유사(族祖霽月堂公遺事)」와 「천재심공유사(泉齋沈公遺事)」는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한 동산의사(東山義士) 이경연(李景淵)과 심환(沈煥)에 대한 유사로서 의병사 연구에 가치가 있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