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안 ()

목차
촌락
개념
품행이 부정하거나 세 번 이상 개가한 양반집 여자의 이름과 소행을 적어 두는 대장.
목차
정의
품행이 부정하거나 세 번 이상 개가한 양반집 여자의 이름과 소행을 적어 두는 대장.
내용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남편이 있는 아내가 음행이 있으면 「자녀안」에 올리고 바느질하는 종[針工]으로 삼도록 하였는데, 고려시대에는 주로 간통한 여자를 기록하였다.

제도적으로 문제가 된 것은 실행(失行)한 부녀와 세 번 이상 개가한 여자, 이른바 삼가녀(三嫁女)였다. 조선에 이르러서는 재가(再嫁)까지 금지하려는 요청이 강해져서 1406년(태종 6) 6월 대사헌 허응(許應) 등은 양반의 정처로서 세 번 이상 개가하는 자는 고려의 법에 따라 「자녀안」에 기록하여 풍습을 바르게 하자고 계(啓)를 올렸다.

「자녀안」에 기록한다는 것은 그 자손의 관리 임용이 금지되는 것이며, 세 번 이상 개가만은 제도적으로 금지하려는 것이었다. 단종 때에 이르러 비로소 삼가녀가 「자녀안」에 기록되기 시작하고, 그리고 성종 때에는 “재가실행부녀(再嫁失行婦女)의 자손 및 서얼자손은 문과·생원진사과 시험에 응거할 수 없다.”고 『경국대전』 조문으로 명문화하였다.

즉, 이 안에 올려지면 그 가문의 불명예는 물론 그 자손의 과거 응시, 임관 등 사회적 진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하여 여자들에게 수절을 요구하였고, 이를 어긴 여자를 처벌하는 수단으로 ‘자녀목(恣女木)’이 있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단종실록(端宗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한국여성관계자료집(韓國女性關係資料集) -중세편(中世篇)-』(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198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