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봉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정석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정석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2책. 목판본. 손자 병한(柄翰) 등이 편집해놓은 유고를 1921년 지방 사림들이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서정옥(徐廷玉)·이중구(李中久)의 서문, 권말에 병한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89수, 서(書) 75편, 권3·4에 잡저 7편, 서(序) 12편, 기(記) 5편, 발(跋) 6편, 잠(箴) 3편, 명(銘) 2편, 권5에 축문 1편, 제문 12편, 애사 8편, 묘갈명 1편, 권6에 부록으로 만사 53수, 뇌문(誄文) 1편, 제문 35편, 유사·행장·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잡저의 「대학의의문답(大學疑義問答)」과 「논어의의문답(論語疑義問答)」은 1891년(고종 28) 강회(講會)에서 문답한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경학을 연구하는 데 참고자료가 된다.

또한, 「강회정읍례도(講會庭挹禮圖)」는 저자가 삭망(朔望: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으로 강회할 때의 위치를 도식으로 설명하고, 또 제자들과 시행하였던 절차를 기록한 것이다.

「신교사우설(新校四友說)」은 말년에 새로이 거울〔明輔友〕·화로〔溫良友〕·지팡이〔正輔友〕·평상〔安樂友〕을 벗하게 되었음을 말하고, 그러나 평생의 벗인 종이[紙]·붓[筆]·벼루[硯]·먹[墨]을 잊을 수 없으므로 여덟 친구와 함께 여생을 보낸다고 하여 자신의 생활상을 나타낸 글이다.

「효자이낙서전(孝子李洛瑞傳)」은 1873년 여름 이석구(李錫龜)가 호랑이로부터 아버지를 구한 효행을 기록한 것이다. 그 밖에 「시아조(示兒曹)」는 자손들을 경계해 지은 글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