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단 ()

목차
관련 정보
금합자보 / 사모곡
금합자보 / 사모곡
국악
개념
전통음악에서 박자 · 빠르기 · 리듬의 주기 등에 따라 달라지는 리듬 형태를 가리키는 국악용어.
목차
정의
전통음악에서 박자 · 빠르기 · 리듬의 주기 등에 따라 달라지는 리듬 형태를 가리키는 국악용어.
내용

농악과 무악(巫樂)에서는 일명 두마치·삼채·마치·채라고도 하며, 지방 무악에 따라 제주도에서는 연물, 함경도에서는 장기, 평안도에서는 장구라고도 한다. 음악의 종류와 지방에 따라 한결같지는 않으나 보통 장구나 북과 같은 타악기의 고법(鼓法)으로 나타난다.

주로 음악과 무용 등의 반주형태로 연주되지만 모든 종류의 음악에 두루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일정한 리듬의 틀을 기본형으로 가지고 있으나 음악의 종류, 지방, 연주자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으며 무수한 변주가 가능하다.

한 박자를 기준으로 할 때, 정악이나 민속악을 막론하고 보통 3분박 중심과 2분박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간혹 이 둘이 뒤섞여 있는 것도 있다. 이 중 3분박 4박자로 한틀이 된 것이 가장 많고, 3분박 3·5·6·8·9·10·12·18·20박자로 된 것도 사용되고 있다.

자주 사용되고 있지는 않으나 2분박 3·4·5·6·12·15박자로 된 것도 사용되고, 이 가운데에서도 4박자로 된 것이 가장 많다. 또한 매우 빠른 3박과 2박이 여러 형태로 뒤섞여서 된 8·10박자의 절름거리는 모습도 있다.

음악의 종류와 특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각각 지정된 명칭이 있다. 그러나 판소리·산조·민요·무악·농악 등에서 동일한 음악적 내용과 특징을 가졌다 하더라도 지방과 음악의 종류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불릴 경우가 적지 않다.

산조의 경우에는 장단명이 악장을 가르키기도 한다. 산조, 영산회상(靈山會相), 가곡(歌曲) 등에서는 느린 속도에서 빠른 속도조 장단의 틀이 구성되고, 그 외의 음악에서는 보통 자유스럽게 사용되고 있다.

정악(正樂)과 가곡·가사·시조 등 궁중음악과 양반계층이 즐기던 음악은 대개 틀이 고정되어 있어 기본형이 거의 변하지 않은 채로 반복되고, 혹 변한다 해도 정도가 심하지 않다.

그러나 산조와 판소리를 비롯한 여러 민속악과 무악·농악 등에서는 기본형을 보통 처음에만 제시할 뿐,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변주가 심하다. 뿐만 아니라 고수(鼓手)나 관객, 연희자(演戱者)에 의하여 추임새가 각 악구(樂句)나 악절(樂節)의 끝에 추가되어 음악의 흥을 돋우기도 한다.

한국의 전통음악에서 소리의 강약은 대개 처음이 강하고 끝은 약한 데 반하여, 판소리나 산조·무악 등과 같은 여러 민속악에서는 반주역인 장구나 북은 끝부분을 강하고 세게 쳐주어 소리와 묘한 대조를 이루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통용되고 있는 장단법 중 장구를 위한 것은 양손을 사용하여 동시에 채편과 북편을 치는 합장단은 떵이라 구음(口音)하고 ⦶로 표시한다.

합장단은 음악의 시작과 매 장단의 처음에 사용된다. 장구채만 사용할 때는 더 혹은 덕이라 구음하고 |로 표시한다. 왼손으로 북편만 칠 때는 쿵 또는 꿍이라 구음하고, ○로 표시한다. 채를 굴릴 때는 더러러러 구음하고 ⧘로 표시한다. 겹채를 사용할 때는 기덕이라 구음하고 ┃로 표시한다. 겹채를 치고 점을 찍을 때는 기덕 떡으로 구음한다. 살며시 채로 채편을 찍을 때는 덕으로 구음하고 ●로 표시한다.

속도가 아주 느린 음악에는 처음을 합장단으로 치지 않고, 겹채와 북편을 연이어 사용하여 속도를 지정해 준다. 이 때의 구음은 기덕쿵이라 하고, 이에 해당되는 기호가 사용되며, 이를 ‘갈라친다’고 이야기한다. 북에 의한 것은 이와 다를 경우도 많으나 원칙에서는 별차이가 없다.

정악에 쓰이는 장단 중 상영산장단은 「영산회상」과 「상영산(上靈山)」·「중영산(中靈山)」과 「여민락(與民樂)」의 초장∼3장, 「보허사(步虛詞)」의 초장∼4장, 관악 「보허자」와 같은 느린 음악에 사용된다. 원래는 매우 느린 10박의 한 장단이라, 너무 느리기 때문에 20박으로 한 장단을 꼽는다.

2분박·3분박이 분명치 않으나 2분박의 10박으로 볼 때는 서양음악의 10/2박자로 적고, 20박으로 꼽을 때는 20/2박자로 적는다. 3분박의 20박으로 볼 때는 60/8으로 적는다. 한 장단을 20박으로 볼 때는 강·약에 따라 6·4·4·6박으로 나눈다.

첫 박은 합장단인 떵이고, 제7박은 기덕, 제11박은 쿵, 제15박은 더러러이다. 세영산(細靈山)장단은 「영산회상」의 「세영산」·「가락덜이」·「여민락」의 제4장∼제7장, 「보허사」의 제5장∼제7장에서 쓰인다. 3분박으로 된 조금 느린 10박으로 30/8박자로 적는다.

강·약에 따라 3·2·2·3박으로 나뉜다. 첫 박은 떵, 제3박은 덕, 제4박은 더러러, 제6박은 쿵, 제8박은 기덕, 제10박은 덕이다.

도드리장단은 「영산회상」 중 「상현환입(上絃還入)」·「하현환입(下絃還入)」과 「도드리」·「염불도드리」 등에 사용된다. 3분박으로 된 보통 빠른 6박으로 18/8로 적는다. 첫 박에 떵, 제3박에 기덕, 제4박에 쿵, 제5박에 더러러를 친다.

타령(打令)장단은 「영산회상」 중 「타령」·「군악」·「계면가락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 등과 행악(行樂) 중 「길타령」·「별우조타령」 등에 사용된다. 3분박으로 된 느린 4박자로 때로는 빠른 12박자로 꼽기도 하며, 흔히 12/8박자로 보고 있다.

12/8박자로 했을 때 첫 박에 떵, 제4박에 기덕, 제6박에 덕, 제7박에 떵, 제9박에 기덕, 제12박에 덕을 친다. 양청(兩淸) 장단은 「영산회상」 중 「양청도드리」에 사용되고, 3분박으로 된 빠른 4박자이다. 12/8박자로 적고, 첫 박에 떵, 제2박에 덕, 제3박에 기덕을 친다.

취타(吹打)장단은 「취타」·「대취타」에 사용되고, 3분박으로 된 보통 빠른 20박자로 되어 있고 60/8박자로 적는다. 첫 박에 떵, 제2박에 덕, 제3박에 떵, 제4박에 덕, 제5박에 떵, 제6박에 더러러, 제7박에 쿵, 제8박에 쿵, 제9박에 떵, 제11박에 더러러, 제12박에 덕을 친다.

길군악장단은 「길군악」에 상용되고, 3분박으로 된 보통 빠르기의 8박자이다. 24/8박자로 적고, 첫 박에 떵, 제2박에 덕, 제3박에 떵, 제4박에 덕, 제5박에 떵, 제7박에 더러러, 제8박에 덕을 친다.

수제천(壽齊天)장단은 「수제천」과 「동동(動動)」에 사용되고, 3분박으로 된 느린 18박자이다. 54/8로 적을 수 있으나 「수제천」은 불규칙하다. 첫 박에 기덕, 제2박에 쿵, 제7박에 기덕, 제10박에 쿵, 제13박에 떵, 제14박에 더러러를 치나, 「수제천」은 처음을 갈라친다.

「보태평(保太平)」·「정대업(定大業)」과 같은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은 자주 박자가 변하여 악절마다 박수가 불규칙하다. 가곡·가사(歌詞)·시조(詩調)와 같은 정가(正歌) 중 가곡은 16박과 10박으로 된 2가지가 있다.

16박장단은 「초삭대엽(初數大葉)」부터 「삼삭대엽」까지, 「소용(騷聳)」·「언롱(言弄)」·「평롱(平弄)」 등 대부분의 가곡에서 사용되고, 원형에 속한다. 매우 느리며 2분박과 3분박이 불분명하나 대부분 3분박으로 되어 있어 48/8박자로 적을 수 있다. 강·약에 따라 3·3·2·3·3·2박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박에 떵, 제3박에 더러러, 제4박에 쿵, 제6박에 덕, 제7박에 기덕, 제9박에 쿵, 제11박에 덕, 제12박에 떵, 제14박에 더러러, 제15박에 쿵, 제16박에 덕을 친다. 10박으로 된 것은 「편삭대엽(編數大葉)」·「언편(言編)」·「편락(編樂)」등 가곡 중 편에 쓰이고 3분박의 보통 빠른 속도이다.

30/8박자로 적을 수 있고, 제1박에 떵, 제2박에 더러러, 제3박에 쿵, 제4박에 덕, 제5박에 기덕, 제6박에 쿵, 제7박에 덕, 제8박에 떵, 제9박에 더러러, 제10박에 쿵을 친다. 원 가곡 16박장단의 변형으로 16박장단의 장구 점(點)만을 차례로 모아 놓은 것이다.

가사 중 「백구사(白鷗詞)」·「춘면곡(春眠曲)」·「어부사(漁父詞)」·「황계사(黃鷄詞)」·「길군악」·「수양산가(首陽山歌)」·「죽지사(竹枝詞)」 는 도드리장단을 사용한다. 느린 6박자로 2분박인지 3분박인지 불분명하나 흔히 3분박으로 하여 18/8박자로 적을 수 있다.

「상사별곡(相思別曲)」·「처사가(處士歌)」·「양양가(襄陽歌)」와 같은 곡은 5박자로 되어 있다. 2분박 혹은 3분박이 불분명하나 15/8박자로 적을 수 있는 3분박으로 보통 보고 있다.

「상사별곡」은 첫 박에 떵, 제3·4박에 덕을 친다. 「처사가」·「양양가」는 첫박에 떵, 제3박에 더러러, 제4·5박에 쿵을 친다. 시조는 5박과 8박을 섞어 치고, 2분박인지 3분박인지 분명하지 않으나 흔히 3분박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3분박의 경우 15/8박자와 24/8박자로 적고, 5박의 경우에는 첫 박에 떵, 제3박에 더러러, 제4박에 쿵, 제5박에 덕을 친다. 8박의 경우에는 제4박까지는 첫 박에 떵, 제3박에 더러러, 제4박에 쿵, 제5박에 덕, 제6박에 쿵, 제7박에 기덕, 제8박에 쿵을 친다.

판소리와 산조에 사용되는 것으로는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엇모리·엇중모리 등이 있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고법은 기본형이 있기는 하나, 소리의 맺고 푸는 데 따라 변주하여 사용한다. 대개 악절의 처음에는 떵을 치고, 달고 갈 때는 채를 굴리고, 맺는 박에는 채를 크고 강하게 치고, 풀 때는 쿵을 굴러 친다.

진양은 3분박으로 된 느린 6박이 한 각(刻)을 이루고 4각이 모여 한 장단을 이룬다. 한 각은 18/8로 적을 수 있고, 첫 박은 떵을 친다. 악절이 일어나 소리를 미는 각에서, 제5·6박에 장구는 채를 보통으로 치고 북은 반각자리를 친다.

소리를 달고 나가는 각에서는 제5·6박에 장구는 채를 굴리고, 북은 매화점 자리를 친다. 소리를 맺는 각에서는 제5박을 장구는 채로 강하게 세게 치며, 북은 온각 자리를 친다. 소리를 푸는 각에서는 북편을 굴려친다. 보통 4각을 단위로 하여 소리를 맺고 푸는 경우가 많다.

중모리는 산조의 두번째 악장에 해당되고, 단모리에서는 노래말이 서술적인 장면에 주로 사용된다. 2분박으로 된 보통 빠르기의 12박자로 12/4박자로 적을 수 있다. 첫 박은 떵, 맺는 각에서는 9박을 채로 크고 강하게 치고, 제10·11·12박은 쿵을 굴려 친다.

중중모리는 산조의 셋째 악장이고, 판소리에서는 춤추는 장면, 통곡하는 장면, 활보하는 장면에 주로 사용된다. 3분박으로 된 느린 4박으로 되어 있고, 12/8로 적는다. 악절의 처음의 첫 각에 쿵을 크게 치고, 소리를 맺는 각의 제3박의 후반을 채로 크고 강하게 친다.

자진모리는 산조의 넷째 악장이고, 판소리에서 여러 가지를 나열하거나 긴박한 장면에 주로 사용된다. 3분박으로 된 보통빠르거나 조금 빠른 4박자로 12/8박자로 적는다. 치는 법은 중중모리와 유사하다.

휘모리는 산조의 다섯째 악장이고, 판소리에서는 분주한 장면에 사용된다. 2분박으로 된 매우 빠른 4박자이다. 12/8박자로 적을 수 있고, 첫 박은 떵을 크게 치고, 소리를 맺는 각에서는 제3박 후반을 채로 크고 강하게 친다.

엇모리는 산조에 가끔 쓰이고, 판소리에서는 신비한 인물이 나올 때 쓰인다. 3분박과 2분박이 교대로 나오는 절름거리는 10/8박자로 적고, 때로는 매우 빠른 10박으로 보기도 한다. 10박으로 하였을 때 첫 박은 떵, 맺는 각의 제8박에 덕을 강하고 크게 친다.

엇중모리는 판소리에서 주로 뒤풀이에서 쓰인다. 2분박으로 된 빠른 6박자로 6/4박자로 적는다. 첫 박에 떵을 크게 치며, 소리를 맺는 각에서는 제5박에 덕을 강하고 크게 친다.

선소리 산타령·잡가·민요 등에는 세마치·중모리·볶는 타령·굿거리 등이 주로 쓰이고, 도드리·엇모리·진양 등이 쓰이기도 한다. 세마치는 경기입창(京畿立唱)·서도입창(西道立唱)·경기 긴잡가 등과 「양산도(陽山道)」·「진도아리랑」·「밀양아리랑」 등 여러 민요에 두루 쓰인다.

3분박으로 된 조금 느린 3박조로 흔히 9/8박자로 적는다. 첫 박에 떵, 소리를 맺는 각의 제3박에 덕을 크고 강하게 친다.

중모리는 「화초사거리」·「농부가」·「남도흥타령」·「몽금포타령」 등에 쓰이고, 판소리와 산조의 장단법과 같다. 볶는 타령은 「군밤타령」·「경복궁타령」 등에 쓰인다. 3분박으로 된 보통 빠르기의 4박으로 12/8박자로 적는다. 첫 박에 떵을 치고, 맺는 각의 제3박에 덕을 두 번 크고 강하게 치는 경우가 많다.

굿거리는 「창부타령」·「자진농부가」·「쾌지나칭칭」 등에 두루 쓰이고, 3분박으로 된 조금 느린 4박인 12/8박자로 적는다. 첫 박에 떵, 맺는 각 제3박에 덕을 강하고 크게 두번 친다.

농악에는 지방마다 종류도 다르고, 음악적 특징이 같아도 명칭이 다른 경우가 많다. 경기농악에는 길군악칠채·굿거리·삼채인 덩더꿍이·자진가락·마당일채 등의 장단이 쓰인다.

길군악칠채는 매우 빠른 3박과 2박이 3·2·3·2·3·3·3·2·3·2·2·3·3·2로 교대되는 절름거리는 모양이다. 마당일채는 매우 빠른 2박과 3박이 2·3·3·2로 교대된다.

굿거리는 민요의 경우와 같고, 덩더꿍이는 자진모리, 자진가락은 휘모리와 같다. 호남농악은 오채칠굿·좌질굿·외마치질굿·풍류굿·삼채·세산조시·호호굿 등의 장단이 쓰인다.

오채칠굿은 2·3·3·2가 두 번, 3·2·2·3·3·3·3이 두 번 반복되는 절름거리는 모양이다. 좌질굿은 2·3·3·2의 모양이고, 풍류굿과 외마치질굿은 굿거리와 같다. 삼채는 자진모리, 세산조시는 휘모리와 같다. 영남농악은 길군악·무정작궁·덧뵈기·다드래기·삼채·정적궁이 등이 쓰인다.

길군악은 빠른 2박과 3박이 2·3·3·2로 교대되고, 무정작궁·덧뵈기·삼채·정적궁이는 자진모리형이다. 다드래기는 자진모리나 휘모리형이다.

무악 또한 지방에 따라 종류가 다르고, 음악적 특징이 같아도 명칭이 다른 경우가 많다. 평안도 굿에는 푸념·비나수·덕담·영산·돈실러 가는 막 등의 장단이 쓰인다.

푸념은 굿거리에 해당되고, 비나수는 자진모리에 해당된다. 덕담 역시 굿거리에 해당되고, 막은 경기 북부 굿의 당악장단과 맞는다. 모두 3분박으로 된 4박이고, 12/8박자로 되어 있다.

황해도 굿에는 긴만세·자진만세·산유만세·기상·쑹거·버꾸·삼현·만·덕담·돈실러 가는 등의 장단이 쓰인다. 긴만세는 자진모리형이고, 자진만세는 휘모리형이다. 산유만세장단은 엇모리형, 덕담과 버꾸는 굿거리형, 돈실러 가는은 중중모리형이다.

경기 북부 굿에는 청배·만수받이·굿거리·노랫가락·허튼타령·당악 등의 장단이 쓰인다. 청배는 엇모리형, 만수받이는 자진굿거리형, 노랫가락은 혼합박자로 되어 있다.

경기 남부 굿에는 청배섬채·도살풀이·모리·푸살·가래조·덩더꿍이·긴염불·굿거리·허튼타령·당악·진쇠·올림채·반설움·겸마치·부정놀이 등의 장단이 쓰인다. 청배섭채는 2분박의 4박자가 중심이 되고, 도살풀이는 2분박의 보통빠른 6박자로 되어 있다.

모리는 3분박의 보통빠른 4박자이고, 가래조는 엇모리형이다. 푸살은 2분박의 15박자이고, 진쇠는 매우 빠른 2박과 3박이 섞인 절름거리는 모양이다. 반설움은 3분박의 보통 빠른 15박자이고, 부정놀이는 2분박의 보통 빠른 4박자이다.

충청도와 전라북도 굿에는 안진반·외장구·살풀이·덩덕궁이·신임·중모리·중중모리 등의 장단이 쓰인다. 안진반은 2분박의 4박자가 중심이 되나 불규칙하고, 외장구는 자유 리듬이다. 살풀이는 3분박의 느린 4박자이고, 신임은 엇모리형, 덩더꿍이는 자진중중모리이나 자진모리에 맞는다.

전라남도 굿에는 흘림 혹은 동살풀이로도 불리는 안땅·무장구·진양·덩더꿍이·살풀이·대왕놀이·중모리·중중모리 등의 장단이 쓰인다. 무장구는 자유리듬이고, 안땅은 2분박의 4박자로 되어 있다. 살풀이는 3분박의 보통 빠른 4박자이고, 대왕놀이는 엇모리형이다.

경상도 서남지방 굿에는 불검·덩더꿍이·올림채·제석놀이·푸너리·대너리·조너리·덩덕궁이 등의 장단이 쓰인다. 불림은 2분박의 보통빠른 5박자이고, 푸너리와 덩더꿍이는 3분박의 4박자로 굿거리와 자진모리형이다. 조너리와 대너리는 2분박과 3분박이 섞인 절름거리는 박자이다.

강원도와 경상도의 동해안지방 굿에는 청보·제마수·드렁갱이·쪼시개·삼오동·고삼·자삼·무정작궁·푸너리 등의 장단이 쓰인다.

청보·제마수·드렁갱이·쪼시개 등은 매우 빠른 3박과 2박이 3·2·3을 단위로 여러 개 합해진 절름거리는 모양이다. 고삼은 3분박의 15박자이고, 자삼은 엇모리형이다. 무정작궁은 자진모리형, 푸너리는 2분박의 4박자이다.

함경도의 굿에는 청배·상애짖기장기·도속잡는장기·드러치는장기·전채질장기·예주끼장기·정적기·화청장이 등의 장단이 있다. 청배장기는 2분박의 불규칙한 박자가 많고, 상애짖기장기·도속잡기장지·전채질장기는 매우 빠른 3박과 2박이 3·2·3으로 이루어졌다.

정적기는 자진모리형이나 굿거리형이고, 화청장기는 엇모리형이다. 제주도 굿에는 군웅연물·성주굿연물·도신연물·느진연물·장판·자진연물 등의 장단이 쓰이며, 굿거리형·자진모리형·휘모리형 등이 주가 된다.

처음 이 용어가 나타나는 문헌은 조선 성종 때의 『악학궤범』으로, 박조(拍條)에 ‘용악지장단곡절(用樂之長短曲節)’이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한림별곡(翰林別曲)」에 의하면 고려 때에도 장구에 의한 장단이 쓰였던 것 같다.

다음으로는 영조 때의 문인 신광수(申光洙)의 『석북집(石北集)』 중 「관서악부(關西樂府)」에 ‘일반시조장단래자장안이세춘(一般時調長短來自長安李世春)’이라 되어 있다.

이로 보면 고려 이래로 음악의 절주(節奏: 리듬)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악보상으로는 『세종실록』 소재의 정간보(井間譜)에 총보(總譜)의 일부로 되어 있는 장구를 위한 것이 처음이다.

채편과 북편의 양면을 동시에 치는 ‘쌍(雙)’, 채편만 치는 ‘편(遍)’, 북편만 치는 ‘고(鼓)’, 채를 굴려주는 ‘요(搖)’의 한자(漢字)로 된 이 악보는 『세조실록』과 『대악후보(大樂後譜)』, 그리고 임진왜란 무렵의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도 보인다. 그러나 이 용어는 이들 악보에 보이지 않는다.

『악학궤범』과 선조 때의 악보인 『금합자보(琴合字譜)』에는 장구를 위한 기호(記號)로 된 악보가 해설과 더불어 보이고 있다. 이 중 『악학궤범』의 것은 현재 통용되고 있는 장구장단보의 기본이 되고 있다.

그 뒤 고종 때의 『삼죽금보(三竹琴譜)』에는 장구의 기호보가 보이고, 『학보금보(學圃琴譜)』에는 구음에 의한 육보(肉譜)가 보이고 있다. 이 육보는 약간 변형되었지만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판소리·산조·민요 등을 포함한 민속악과 농악·무악 등에서 사용되는 장단법은 정확히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문헌자료가 귀하여 확인하기가 어렵다. 서양음악에서는 볼 수 없는 한국전통음악의 특징적인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한국 전통음악의 구조적인 이해는 물론 감상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악학궤범(樂學軌範)』
『대악후보(大樂後譜)』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금합자보(琴合字譜)』
『삼죽금보(三竹琴譜)』
『학포금보(學圃琴譜)』
『한국무악고』(윤석운, 동학당, 1979)
『민속악체계정립자료집 3-무악-』(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0)
『전창십이가사』(장사훈,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0)
『국악반주법』(이재숙, 수문당, 1985)
『최신국악총론』(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5)
「판소리고법」(Ⅰ)(이보형, 『문화재』 10, 문화재관리국, 1976)
「판소리고법」(Ⅱ)(이보형, 『문화재』 11, 문화재관리국, 197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보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