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장옷은 궁중이나 양반층에서 사용하던 ‘너울[羅兀]’ 대신 간편하게 만들어 사용한 것이다. 양반층에서는 쓰개치마를 사용하기도 하였는데, 조선 말기에는 잘 지켜지지 않고 장옷과 혼용되기도 하였다.
장옷은 두루마기와 비슷한 형태로 겉감은 초록색, 안감은 자주색을 사용하였다. 길에는 쌍섶과 무가 있고 소매부리에는 흰색 거들지를 달았다. 옷깃과 옷고름은 자주색이고 깃에는 동정을 달았으며 이중고름을 달았다. 옷감은 명주·삼팔·숙고사·모시·항라·경광주 등 계절에 따라 달리 사용하였다.
착용하는 방법은 머리에 쓰고 얼굴만 드러내도록 하고, 앞은 마주 여며지도록 맺은 단추를 달았으며 속에서 이중고름을 잡아서 여민다. 일을 할 때나 또는 노인들의 경우, 접어서 머리 위에 이고 다니거나 어깨에 걸치고 다니기도 하였다. 제주도에서는 여성의 혼례복에 쓰거나 장례 때 수의용으로 쓰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