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촌집 ()

목차
관련 정보
저촌집
저촌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정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8년에 필사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정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8년에 필사한 시문집.
내용

4권 3책. 필사본. 1858년(철종 9)에 필사되었고, 권말에 이육(李育)의 발문과 외증손 송지양(宋持養)의 후기가 있다. 장서각 도서·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2는 시 108수, 권3은 묘지명 7편, 행장 2편, 제문 14편, 권4는 서(序) 1편, 설(說) 1편, 제발(題跋) 5편, 소계(疏啓) 4편, 서(書) 5편, 부록의 습유편에 연구(聯句) 5수, 묘기·제문·소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4의 「해동가요후발(海東歌謠後跋)」은 김천택(金天澤)이 김수장(金壽長) 편찬의 『해동가요』에 대한 발문을 요구하자 그에 응하여 쓴 것이다. 이 글을 통하여 저자의 문학론을 살필 수 있는데, 『해동가요』 속에 음란하고 속된 가사를 수록할 수 있을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김천택의 염려를 일축하고 있다.

『시경』의 산시(刪詩) 정신을 실례로 들면서, 시는 교훈적인 것뿐만이 아니라 선악·권계 모두 존재한다고 하였다. 시란 곧 성정의 발로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가능한데, 시 발전의 단계에서 특히 위진시대(魏晉時代) 이후에 작시자들이 언어의 조탁, 경물의 꾸밈 등의 형식에만 골몰하여 성정의 발로가 은폐되었다고 지적하며, 조선조에 들어와 이러한 폐단이 더욱 심하여졌으나, 오직 가요만은 이 폐습을 벗어나 인간의 성정을 쫓아 모든 감정의 표출이 자연의 진기(眞機)에서 우러나왔다고 하였다.

이 때문에 민풍은 정통의 한시에서보다는 당시 대두된 변체의 민요(사설시조)에서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점이 민요를 소홀히 할 수 없는 이유가 된다고 하여 민요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인식하는 전기로 삼고자 하였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박종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