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금(大笒)이라고도 하며, 시나위젓대와 구분할 때는 정악대금(正樂大笒)이라고 한다. 문묘제례악과 대취타(大吹打)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정악(正樂)·민속악에 널리 사용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중금(中笒)·소금(小笒)과 함께 신라의 삼죽(三竹)이라고 하였고, 《고려사》에 의하면 대금이 13공(孔)을 가졌다고 하였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취공(吹孔) 1개, 청공(淸孔) 1개, 지공(指孔) 6개, 칠성공(七星孔) 5개와 함께 13공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대금의 길이는 82㎝, 지름은 2㎝ 정도이고 취공과 청공이 각 1개, 지공 6개, 칠성공이 1, 2개 있다. 취공에서 가장 가까운 지공부터 1공·2공 등으로 명명되는데, 제1공은 왼손 집게손가락, 제2공은 왼손 가운뎃손가락, 제3공은 왼손 약손가락, 제4공은 오른손 집게손가락, 제5공은 오른손 가운뎃손가락, 제6공은 오른손 약손가락으로 짚으며, 이러한 운지법(運指法)은 중금·당적(唐笛)의 경우에도 같다.
젓대는 다른 횡적류와는 달리 취공부분을 연주자의 왼쪽 어깨에 올려놓고 불고, 취공과 지공, 지공과 지공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긴 편이어서 연주에 신체적 숙달이 필요하다.
음역(音域)은 2옥타브 4도(bb-eb)로 되어 있다. 같은 운지법으로 평취(平吹)를 하면 저취(低吹) 때보다 1옥타브 배음(陪音)이 되지만, 역취(力吹)를 할 때는 평취의 같은 운지법에서보다 5도 높은 배음이 발생하고 운지법 자체도 약간 달라진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저취와 평취 때 제1공을 막고 2·3·4공을 열거나 혹은 1·2·3·4공을 열 때는 편의상 5·6공을 막고, 1·2공을 막고 3·4·5공을 열 때는 편의상 6공을 막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예외적인 운지법은 음정 자체에는 변화를 주지 않고 편의상 사용되는 운지법이라고 하였다. 이렇게 한 음을 내기 위한 한 가지 이상의 운지법은 현행 젓대에도 사용되고 있는데, 악기의 성능에 따라 약간 다를 수도 있다.
젓대는 음역이 넓고 고정된 음고(音高)를 지니고 있어 합주할 때 다른 악기들이 젓대의 임종(林鐘)에 맞추어 조율한다. 또, 음량이 풍부하고 비교적 넓은 취공을 입술로 조절하며 음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국악기 중 대표적인 독주악기로도 자주 쓰인다.
시나위를 연주하는 시나위젓대의 기본적 구조는 정악대금과 비슷하나, 대금보다 길이가 짧고 지름도 작기 때문에 연주하기에 신체적으로 훨씬 쉽다. 시나위대금의 취공은 정악대금보다도 큰데, 특히 청(淸)울림소리가 정악대금에 비하여 더 많이 난다.
시나위대금은 정악대금보다는 악기 혹은 연주자에 따라 2, 3도 높은데, 실제음악에서 음높이를 조절할 때 입술로 부분적으로 막은 취공의 지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