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감록 ()

목차
관련 정보
정감록
정감록
도교
문헌
조선시대 민간에 널리 유포되었던 도참서.
내용 요약

『정감록』은 조선시대 민간에 널리 유포되었던 도참서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예언서로, 여러 가지 감결류와 비결서를 집성한 것이며 이본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저자나 성립 시기는 분명치 않다. 반왕조적이며 현실 부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서 조선시대 이래 금서에 속하여 민간에서 은밀히 전승되어 왔다. 난세에 풍수설에 따라 정해진 피난처에서만 복을 누릴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정씨 성의 진인이 출현하여 이씨 왕조가 멸망하고 새로운 세계가 도래한다는 것이다. 동학을 기점으로 속출한 한국의 종교운동과도 맥이 닿아 있어 민중의식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민간에 널리 유포되었던 도참서.
내용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예언서이다. 여러 가지의 감결류(鑑訣類)와 비결서(秘訣書)의 집성이며 이본(異本)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정감록』에 포함되는 문헌으로는 각종 이본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감결을 비롯하여, 삼한산림비기(三韓山林秘記) · 화악노정기(華岳路程記) · 구궁변수법(九宮變數法) · 동국역대본궁음양결(東國歷代本宮陰陽訣) · 무학비결(無學秘訣) · 도선비결(道詵秘訣) · 남사고비결(南師古秘訣) · 징비기(徵秘記) · 토정가장비결(土亭家藏秘訣) · 경주이선생가장결(慶州李先生家藏訣) · 삼도봉시(三道峰詩) · 옥룡자기(玉龍子記) 등 수십 가지가 있다.

『정감록』의 저자나 성립 시기에 대해서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확실한 것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정감록』은 반왕조적이며 현실 부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조선시대 이래 금서에 속하였으며 민간에 은밀히 전승되어 왔다.

작자를 정감(鄭鑑) 혹은 이심(李沁)이라고 보기도 하나, 이는 『정감록』이 정감과 이심의 대화형식으로 서술된 까닭에 그렇게 보는 것이며, 이들은 전설적인 인물로 보아야 한다. 또한, 정도전(鄭道傳)이 조선 왕조의 역성혁명을 합리화하고 민심을 조작하기 위하여 저술하였다고 추측하기도 한다.

『정감록』이 한 사람의 인물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사실은 내용이 다양한 수십여 편의 비결류의 집성이라는 점을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다. 형식면에서도 예언설 · 주1 · 역수(易數)의 풀이나 주2설에 의한 해석 등이 다양하게 서술되어 있으며, 사상도 유교의 외도(外道)나 도교 및 참위설 · 음양오행설의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다.

『정감록』이 만들어지고, 민간에 숨겨져 내려올 수 있었던 것은 이른바 반왕조적 사회 구성원에 의하여 가능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즉, 사회 변동의 와중에서 몰락한 양반들이 풍수지리설이나 음양오행설에 관한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왕조 교체와 사회 변혁의 법칙을 우주론에 입각한 운세(運世)의 법칙과 결부시키려 하였다고 하겠다.

또한, 『정감록』은 억눌림 때문에 공식적으로 인쇄된 것이 아니라 사본으로 수전(手傳)되어 내려왔으며, 그동안 이들에 의하여 첨삭이 가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성립 시기에 대해서는 대체로 외적의 침입에 의하여 사회 혼란이 극심하고 개인적인 자기보전에 급급하였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로 보는 설이 가장 설득력있게 받아 들여지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로서는, 첫째 지명고적 관점(地名考的觀點)에서 조선시대에 바뀐 지명이 많이 나타난다는 점, 둘째 세조 · 성종 때의 분서목(焚書目)에 『정감록』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 셋째 『인조실록』에 있는 ‘초포조입계룡건도(草浦潮入鷄龍建都)’라는 문구에 『정감록』의 계룡산천도설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 등이다.

내용은 난세에 풍수설에 따라 복정(卜定:점쳐서 정하는 것)된 피난처에서만 지복(至福)을 누릴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정씨(鄭氏) 성의 진인(眞人)이 출현하여 이씨 왕조가 멸망하고 새로운 세계가 도래할 것을 중심으로 하는 예언이다. 미래에 다가올 멸망에 대비한 피난처의 이상경(理想境)에 대한 동경이 『정감록』 전반을 꿰뚫고 흐르고 있다.

따라서 자연지리적 조건을 음양오행설과 결부시켜 해석한 풍수지리설이 원용되고 있다. 표현기법상의 특징으로는 직설적인 표현을 피하고 은어(隱語) · 우의(寓意) · 시구(詩句) · 파자(破字)를 사용하여 해석이 난삽하고 애매한 표현이 많다.

당초에는 병화를 피하는 소극적이고 은둔적인 사상이 『정감록』과 관련하여 민심에 크게 우합(偶合)한 것이지만, 조선 후기의 하대로 내려올수록 반왕조적인 색깔이 짙어져서 반란이나 대소규모의 민란은 모두가 『정감록』에서 우러나온 진인출현설이 압도하게 되었다. 더욱이 19세기의 민중운동이 모두 『정감록』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한, 동학을 기점으로 속출한 한국의 종교운동이 거의 모두가 『정감록』과 한 맥으로 통하고 있다고 할 만큼 민중의 의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정감록』은 신비하고, 어떻게 보면 황당무계하기 그지없는 전통사회의 예언서에 불과할지도 모르나, 실제는 조선시대의 사회사상사를 엮는 데 불가결한 사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해제 정감록(鄭鑑錄)」(신일철, 『한국의 민속·종교사상』, 삼성출판사, 1981)
『정감록집성(鄭鑑錄集成)』(안춘근 편, 아세아문화사, 1981)
주석
주1

시대적 상황이나 정치적 징후 따위를 암시하는 민요. 신라의 멸망과 고려의 건국을 암시한 <계림요>, 조선의 건국을 암시한 <목자요(木子謠)>, 미나리와 장다리로 인현 왕후와 장 희빈을 관련지어 노래한 <미나리요#GT#따위가 여기에 속한다.    우리말샘

주2

지형이나 방위를 인간의 길흉화복과 연결시켜, 죽은 사람을 묻거나 집을 짓는 데 알맞은 장소를 구하는 이론.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