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봉수 ()

용성쌍의록
용성쌍의록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전라도병마절도사, 동지중추부사, 훈련도정 등을 역임한 무신. 의병장.
이칭
상수(祥叟)
시호
양무(襄武)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2년(선조 5)
사망 연도
1645년(인조 23)
본관
하동(河東)
주요 관직
전라도병마절도사|훈련도정
관련 사건
임진왜란|병자호란
정의
조선시대 전라도병마절도사, 동지중추부사, 훈련도정 등을 역임한 무신. 의병장.
개설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상수(祥叟). 아버지는 충무위부사과(忠武衛副司果) 정양년(鄭陽年)이고, 어머니는 충주 김씨(忠州金氏)로 선략장군(宣略將軍) 김연(金淵)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하던 공부를 포기하고 무과에 급제, 선전관이 되어 왕을 주1하여 부장(部將)이 되었다. 이후,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 · 감찰 · 영산현감을 지냈다. 1605년(선조 38) 무안현대장으로 주2 앞 바다에 침입한 왜구를 참획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장에 추대되어 4,000여 명의 의병을 모집, 출신(出身) 김종민(金宗敏)중군(中軍)으로 삼고 미곶첨사(彌串僉使) 장사준(張士俊) · 이광립(李光立) 등과 함께 정예병을 양성하며 정세를 관망하고 있었다.

이 때 용골산성(龍骨山城)에는 철산(鐵山) · 의주 등지의 피난민이 모여 있었다. 이에, 조정에서는 고립된 이 성을 지킬 수 없다 하여 평안도관찰사에게 난민들을 산 속으로 피신하게 하고 전멸의 화를 입지 않게 종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봉수 등이 이 성을 고수할 것을 결의하자 조정에서 그에게 당상계(堂上階)를 주어 전군을 지휘하게 하였다.

그는 적에게 투항한 장사준 등을 참수하고 적의 침입에 대처하였다. 용골산성에서 많은 후금군을 살해하고 포로가 된 수천 명의 백성을 구출, 그 공으로 철산부사가 되었다. 이어 주3에 올라 용천부사 겸 조방장(龍川府使兼助防將)이 되었다. 곧 방어사(防禦使)와 의주부윤을 겸직하고, 적이 철수한 뒤 구성부사 · 개천군수 · 오위장이 되었다.

1630년 부총관으로 전라좌수사에 주4되었고, 이듬해 경상도병마절도사가 되어 가의대부(嘉義大夫)로 승계하였다. 이어 청북방어사(淸北防禦使)가 되었으며, 1634년 전라도병마절도사, 이듬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 부총관 겸 훈련도정을 역임하였다. 철산의 충무사(忠武祠)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양무(襄武)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서계집(西溪集)』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주석
주1

임금이 탄 수레를 호위하여 따르던 일. 또는 그런 사람. 우리말샘

주2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는 섬. 조기ㆍ삼치ㆍ갈치ㆍ도미 따위가 많으며, 규사(硅沙)가 유명하다. 면적은 16.34㎢.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 문산계의 종이품인 가선대부(嘉善大夫)의 품계. 우리말샘

주4

임금의 특별한 명으로 벼슬을 시킴.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장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