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언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특무대, 혁명동지회, 조선의용군 등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으며, 해방 이후 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역임한 관료 · 독립운동가.
이칭
이칭
정국광(鄭國光), 정경호(鄭京浩)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3년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함경북도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때, 특무대, 혁명동지회, 조선의용군 등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으며, 해방 이후 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역임한 관료 · 독립운동가.
생애 및 활동사항

별명은 정국광(鄭國光), 정경호(鄭京浩). 본적은 함경북도이다.

간도(間島)의 은진중학(恩眞中學)을 중퇴하였다. 김구(金九)의 추천으로 1934년 2월부터 낙양군관학교(洛陽軍官學校)에서 수학했으며, 남경(南京)으로 돌아와 김구가 건립한 특무대 예비훈련소에서 1935년 2월부터 특무대원으로 활동하였다.

1935년 8월 김학무(金學武) 등과 함께 공산주의 비밀결사 혁명동지회(革命同志會, 10월회)를 조직하여 간부로 활동하였다. 소련으로 들어가기 위해 상해(上海)로 갔다가 1935년 12월 일본 영사 경찰에 의해 체포되었다.

복역을 마치고 출소하여 만주로 갔으며, 1943년 화북조선독립동맹 공작원 이상조와 만나 만주에서 항일 지하활동을 함께 전개하였다.

해방 후 1945년 8월 20일 이상조와 함께 하얼빈에서 조선독립동맹 북만특별위원회를 조직하고 그 위원이 되었으며, 그 후 만주에서 1946년 6월부터 조선의용군 제3지대 정치처 주임을 맡았고 이어 조선인민주연맹 북만특위 주임을 역임하였다.

1946년 12월 말부터 1947년 2월 말까지 ‘북만지구 조선인간부훈련대대’에서 『신민주주의론』, 『사회발전사』 및 국내외 정치정세 등에 대해 강의하였다.

1947년 혹은 1948년경에 북한으로 귀국하여 이해 8월부터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그 이듬해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원, 1957년 8월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1959년 8월 조선중앙은행 이사장, 1962년 10월부터 1967년 11월까지 제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주덕해』(강창록 외, 실천문학사, 1992)
『북한인명사전』(중앙일보사부설동서문제연구소, 1990)
『朝鮮獨立運動』2(金正明, 原書房, 東京, 1968)
『思想情勢視察報告集』(社會問題資料硏究會 編, 193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