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방언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제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제주도방언 · 제주어 · 제줏말.
이칭
이칭
제주도방언(濟州道方言), 제주어, 제줏말
내용 요약

제주방언은 제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제주도방언·제주어·제줏말이라고도 한다. 그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독자적 발달을 보인 형태의 말이 많고 특히 고어인 ‘아래아(ᄋᆞ)’가 남아 있는 방언이다. 음운상으로는 고어인 ‘아래아(ᄋᆞ)’의 존재로 발음이 독특하며 복사현상도 나타난다. 처격조사와 종결어미에서 독특한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어휘에서도 다른 방언과 의미 영역이나 어원을 달리하는 단어가 많고 몽골어 등 외래어로 인한 독특한 어휘가 많다. 현재는 젊은층의 대다수가 표준어의 한 변종을 사용하는 추세가 강해서 세대 간의 방언 차이가 크게 드러나고 있다.

목차
정의
제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제주도방언 · 제주어 · 제줏말.
개설

제주방언은 그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고어(古語)가 많이 남아 있는 방언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ᄋᆞ’를 제외하면, 제주방언에 고어가 특별히 더 많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다른 방언들과 비교해 제주방언은, 독자적 발달을 보인 형태를 매우 풍부하게 보여 준다는 점에서 더 주목된다.

한편 제주방언은 대방언권의 하나로, 주1 내의 언어적 동질성이 매우 강하다. 전통적으로 한라산을 중심으로 산북 방언과 산남 방언으로 구분해 왔지만, 다른 방언권의 경우와 비교할 때, 두 방언의 차이는 하나의 소방언권을 하위 구획한 정도의 차이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제주방언은 ‘세대’에 따른 방언차를 매우 크게 드러내는데, 이는 대부분의 젊은층 화자들이 전통적 제주방언 대신에 표준어의 한 변종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음운

다른 방언과 비교할 때, 제주방언의 모음체계는 ‘ᄋᆞ’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매우 독보적이다. 대체로 단어의 첫 음절에 한해 실현되는 제주방언의 ‘ᄋᆞ’는, ‘혀의 앞뒤 위치’에서 ‘아’보다 더 뒤쪽에서 발음되고, ‘혀의 높이’에서 ‘오’와 ‘아’ 사이에서 발음되며, 입술을 어느 정도 둥글게 하면서 내는 모음이다.

그런데 제주방언의 모든 화자들이 동일한 모음체계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50세 이하(2014년 기준)의 화자들은 대부분 ‘ᄋᆞ’를 ‘오’로 발음하기 때문이다.(표준어와 같이 ‘아’로 발음하기도 한다.) 이를 ‘ᄋᆞ’로 발음하든, ‘오’로 발음하든 상관없이 이 모음의 존재는 제주방언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이외에, 음운 관련 특징으로 하나 더 언급할 수 있는 것은 복사 현상이다. 이 현상은 단어의 연쇄에서, 선행 요소가 자음으로 끝나는 말이고, 후행 요소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말(문법 형태소는 제외)일 때 일어난다. 이때 제주방언에서는 ‘한국끔식(한국음식), 맏따덜(맏아들)’, ‘솜못(솜옷), 칠뤌(칠월)’, ‘목까프다(목 아프다), 눈나프다(눈 아프다)’ 등에서 보듯 앞말의 종성을, 비어 있는 뒷말의 첫 음절 초성 자리에 복사해 발음한다. 이 현상 또한, ‘ᄋᆞ’의 존재와 함께 제주방언 화자라는 사실을 나타내 주는 대표적 표지다.

문법

제주방언의 처격조사는 형태가 넷이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 중에 ‘-에’가 일반적인 형태라면 ‘-레, -이, -디’는 일부 명사에만 결합되는 특수한 형태다. ‘-레’는 ‘ᄒᆞ르(하루), 마리(마루)’ 등의 명사, ‘-이’는 ‘집(家), 밤(夜)’ 등의 명사, ‘-디’는 ‘밧(밭), 솟(솥)’ 등의 명사에 결합된다. 오늘날에는 모두 ‘-에’로 단일화되고 있다.

선어말어미로는 ‘-아ᇝ/어ᇝ-’과 ‘-앗/엇-’, 그리고 ‘-(으)크-’가 독특하다. 이때의 ‘-아ᇝ/어ᇝ-’과 ‘-앗/엇-’은 시제나 상(相) 그리고 ‘-(으)크-’는 의도나 추측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다.

‘막아ᇝ저막암쩌, 막앗저(막았다)’에서 보듯 ‘-아ᇝ/어ᇝ-’은 현재, ‘-앗/엇-’은 과거에 일어난 사건을 나타내는 어미다. 이를 ‘먹어ᇝ어(먹어), 먹엇어(먹었어)’와 비교할 때, ‘-아ᇝ-, -앗-’과 ‘-어ᇝ-, -엇-’은 선행하는 어간의 모음 부류에 따라 교체되는 형태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으)크-’는 형태상으로는 특이하나, 기능면에서는 표준어의 ‘-겠-’과 크게 다르지 않다. ‘나가 먹으크라.(내가 먹겠다.)’나 ‘철수가 제일 크크라.(철수가 제일 크겠다.)’에서 보듯, ‘-(으)크-’는 주어가 1인칭이면 화자의 의도를 나타내며, 주어가 3인칭이면 추측을 나타낸다.

무엇보다도 제주방언을, 다른 방언과 뚜렷이 구별지어 주는 것은 종결어미다. 특히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어미는 형태나 기능의 면에서 매우 독특한 모습을 보여 준다.

먼저, 제주방언에서는 형태가 다른 종결어미를 써서 설명/판정 의문문을 구분하기도 한다. ‘누게가 제일 예쁜고?(누가 제일 예쁜가?)’와 ‘영희가 제일 예쁜가?’에서처럼, 의문사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설명 의문문에는 ‘-ㄴ고’가 연결되고, 해당 질문에 대해 ‘예/아니오’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 의문문에는 ‘-ㄴ가’가 연결된다. 제주방언에는 ‘-ㄴ고/ㄴ가’, ‘-으니/으냐’, ‘-고/가’ 등과 같이, 이러한 대립을 보여 주는 어미들이 상당히 많다.

다음으로, 주어의 인칭에 따른 출현 제약을 가지는 종결어미가 존재한다. 제주방언에서 ‘는 누게 아덜인디?(너는 누구의 아들이니?)’는 성립하지만, ‘철수는 누게 아덜인디?’는 성립하지 않는다. 이는 ‘-ㄴ디’가 2인칭 주어하고만 어울리며, 3인칭 주어와는 함께 출현할 수 없는 어미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인용어미 ‘-엔’의 존재도 특징적이다. 제주방언의 인용문은, 피인용문의 종결어미에 어미 ‘-엔’을 융합시켜 만든다. 예를 들어, ‘철수는 집이 갓저.(철수는 집에 갔다.)’를 인용하면, ‘철수는 집이 갓젠 헷저.(철수는 집에 갔다고 했다.)’가 된다.

한편 제주방언의 청자경어법은 ‘존대, 평대, 하대’로 3분된다.

어휘

제주방언에는 다른 방언과 의미 영역이나 어원을 달리하는 단어 또는 몽골어 등의 외래어로 인해 독특한 모습을 보이는 단어가 매우 많이 나타난다. ‘패마농(파), 대사니(마늘), 꿩마농(달래)’을 총칭하는 말(‘마농’)이 있다든지, ‘새끼줄’의 방언형이 굵기에 따라 ‘배[大], ᄉᆞᆫ네끼[中], 노[小]’로 분화되어 있다든지 하는 것은 의미 영역을 달리하는 경우다.

그리고 ‘가라ᄆᆞᆯ(黑馬), ᄀᆞᆯ겡이(호미), 꽝(뼈), ᄂᆞ단손(오른손), ᄂᆞᆷ삐(무), 비바리(처녀), 세우리(부추), 지실(감자)’ 등은 어원을 달리하거나 외래어에 기원을 두어 이질적인 모습을 보이는 단어들이다. 아울러 ‘구덕(바구니의 일종), 올레(골목에서 마당으로 들어오는 짧은 골목), 허벅(물동이의 일종)’ 등처럼 제주 지역에서만 발견되는 특수어도 그 수가 상당하다.

참고문헌

『한국의 방언과 방언학』(정승철, 태학사, 2013)
「제주 방언」(정승철, 『방언학 사전』, 태학사, 2001)
주석
주1

방언 구획에 의하여 나뉜 각 지역.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