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장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장 / 김용운
조선장 / 김용운
산업
개념
우리의 전통 배인 한선 만드는 장인.
목차
정의
우리의 전통 배인 한선 만드는 장인.
내용

1993년 경기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기능보유자는 경기도 하남시 배알미동 143의 김귀성이다.

‘배알머리’라는 곳은 현재 남한강과 북한강이 서로 만나는 지점으로 옛날부터 교통과 상업의 중심 거점이었는데, 이 곳에서 그 제작 기술이 이어져 오고 있다.

조선(朝鮮) 배의 특징은 물 깊이가 얕아 무릎 정도밖에 안 되는 강의 상류를 자유롭게 다닐 수 있도록 배의 바닥이 편편하고 탄력 있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근대 한선(韓船)이라고 하면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강이나 바다에 떠다니던 배를 말하는데 거룻배·나룻배·야거리배·당두리 등의 배가 있었다.

그 중 야거리배는 돛대가 하나 달린 바닷배로 배밑이 평평하기 때문에 한강으로 거슬러 올라 다녔으며, 한강의 모래밭에 그대로 올라앉을 수 있었다고 한다.

당두리라고 하는 배[唐道里船]도 원래 바닷배이면서 한강을 거슬러 올라 다녔다. 현재 만드는 배는 주로 늘배·엇거루라고도 부르는 황포(黃布) 돛배이다.

농부들이 농사를 지으러 일터를 옮겨 다닐 때 타던 배로서 나무를 실어 나를 때는 두 척을 붙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쌍둥이배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외에 놀이배·기관선 그리고 고기 잡을 때 많이 사용하는 매생이 등이다.

배를 만들 때는 주로 마을 사람들이 동원되어 함께 일하며, 큰 배는 2∼3명, 작은 배는 1∼2명이 배의 종류에 따라 일주일에서 한 달 걸려 제작한다.

현재 기능보유자 김귀성은 이전의 기능보유자였던 고(故) 김용운의 아들로서 전수 교육 보조자로 지정되어 있다. 그의 집안은 예로부터 한강 나루에서 살아왔다.

8대를 이어오면서 사람이나 짐 등을 실어 강을 건네주는 일을 하거나 또는 나룻배·거룻배 등을 만드는 일에 종사하여 왔다. 현재 하남시청 공원에 전시된 황포 돛배와 경기도 박물관에 전시된 마상이배는 이들이 복원, 제작한 것이다.

참고문헌

『경기문화재대관(京畿文化財大觀)』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진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