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손 ()

목차
관련 정보
가족
개념
종가의 대를 이을 적장자손.
목차
정의
종가의 대를 이을 적장자손.
내용

대종(大宗)의 적장자손(嫡長子孫)이거나 지파조(支派祖)의 직계손, 즉 주1의 적장자손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한 문중을 대표한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종손은 대종의 적장자손이다. 조선시대 종손의 지위는 종가의 권위에 비례하여 최고로 존중받는 위치였다. 왜냐하면 종법상으로는 배항주의(輩行主義)보다 적계주의(嫡系主義)의 원칙이 확립되어 갔으며, 경제적으로도 위토(位土)와 임야의 나무와 풀을 베지 못하게 하는[禁養林野] 소유권이 종손에게 계승되었다. 사회적으로도 종손은 명망높은 조상의 후손으로서 사회적 신분과 종가와 서원(書院) · 가묘(家墓) 등의 소유자로서 위세를 물려받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종손은 문중을 대표하고 문회(門會)를 통솔하며, 문중의 주요 행사나 업무의 결정권을 갖고 있었다. 종손은 대외적으로 문중을 대표하는 일, 문중 공유재산의 최고관리자로서의 임무, 제사 때 주2의 구실, 종가 사람들의 사회적 행위를 통제하는 구실, 그리고 문회의 의결사항들을 최종결정하는 구실을 혼자 수행하였다. 그리고 종손은 시조(始祖) 혹은 주3의 가계(家系)와 가통(家統)을 잇고, 조상의 제사를 모실 책임을 지고 있었다.

한편, 전통사회에서 주4들은 보종(補宗) 관념을 투철하게 갖고 있었다. 종손이 빈곤할 때에는 전 문중이 협력하여 모금활동을 벌이거나 부조를 하였다. 또, 종가에 대를 이을 자식이 없으면 지가(支家)에 차자(次子)가 있는 경우에 그 장자로 하여금 양자를 세우게 하는 것이 상례였으며, 이 경우 가령 지가의 독자라 할지라도 출계(出繼)하게 하였던 것이다. 오늘날에 이르러는 민주화 · 산업화 · 도시화의 영향으로 종손의 사회적 지위가 급격히 떨어졌으나, 관습의 영향으로 종손의 책임과 구실은 그대로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종손은 문중을 유지하고 이끌어가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지손들에게는 비난과 문책을 받기가 일쑤이다.

참고문헌

『한국농촌사회연구(韓國農村社會硏究)』(최재석, 일지사, 1985)
주석
주1

대종가에서 여럿으로 갈려 나간 방계.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종묘 제향 때에 첫 번째 잔을 올리는 일을 맡아보던 제관. 우리말샘

주3

쇠퇴한 가문을 다시 일으킨 조상. 우리말샘

주4

종파에서 갈라져 나간 파의 자손.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