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례 ()

목차
관련 정보
주례(권1)
주례(권1)
유교
문헌
중국 주나라 왕실의 관직제도와 전국시대 각 국의 제도를 기록한 유교경전.
내용 요약

『주례』는 중국 주(周)나라 왕실의 관직 제도와 전국시대 각국의 제도를 기록한 유교 경전이다. 『예기』, 『의례』와 함께 삼례로 일컬어지며, 당나라 이후 13경에 포함되었다. 『주례』에서는 천지 춘하추동에 따라 직제를 크게 천관, 지관, 춘관, 하관, 추관, 동관의 여섯으로 나누었다. 각 편마다 첫머리에 경문(經文)을 두어 해당 관직과 직무의 요점을 총괄 서술하고, 아래에 소속 관직과 직무를 등급에 따라 차례로 배열하였다. 『주례』의 이러한 관직 체계는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쳐서, 한대에 이미 관부를 육조로 나누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목차
정의
중국 주나라 왕실의 관직제도와 전국시대 각 국의 제도를 기록한 유교경전.
내용

주(周) 왕실의 관직 제도와 주1 각 국의 제도를 기록한 책으로, 후대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관직 제도의 기준이 되었다. 원래의 이름은 『주관(周官)』 또는 『주관경(周官經)』이었는데 전한(前漢) 말에 이르러 경전에 포함되면서 예경(禮經)에 속한다고 ‘주례’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예기(禮記)』 · 『의례(儀禮)』와 함께 삼례(三禮)로 일컬어지며, 당대(唐代) 이후 주2의 하나로 포함되었다. 성립 시기에 대해서는 고문학파(古文學派)에서는 주나라 초기 주3이 지은 것이라 하고, 금문학파(今文學派)에서는 전국시대에 이루어진 것이라 하며, 또 한대(漢代) 주4의 위작(僞作)이라고 하는 등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그러나 근래에 이르러서는 주 · 진(秦)의 청동기 주5의 기록에 의거, 대체로 전국시대에 성립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이 후 후한(後漢)의 주6이 주석을 붙여 『주례주(周禮注)』를 편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唐)의 가공언(賈公彦)이 『주례정의(周禮正義)』를 편찬함으로써 13경의 하나로 확정되었다. 이 밖에도 주석본으로 청대(淸代)의 학자 주7이 편찬한 『주례정의』 등이 있다.

이 책의 체재는 천지춘하추동(天地春夏秋冬)의 육상(六象)에 따라 직제를 크게 천관(天官) · 지관(地官) · 춘관(春官) · 하관(夏官) · 추관(秋官) · 동관(冬官)의 여섯으로 나누고 그 아래에 각 관직과 직무를 서술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체가 천관총재(天官冢宰) · 지관사도(地官司徒) · 춘관종백(春官宗伯) · 하관사마(夏官司馬) · 추관사구(秋官司寇) · 동관고공기(冬官考工記)의 여섯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고공기」는 유실된 「동관사공(冬官司空)」 대신 한대(漢代)에 보충해 넣은 것이다. 각 편마다 첫머리에 경문(經文)을 두어 해당 관직과 그 관장하는 직무의 요점을 총괄 서술, 그 아래에 관직과 직무를 등급에 따라 차례로 배열하였다.

구체적 내용을 보면, 천관편에 대재(大宰) 이하 63관직, 지관편에 대사도(大司徒) 이하 78관직, 춘관편에 대종백(大宗伯) 이하 69관직, 하관편에 대사마(大司馬) 이하 67관직, 추관편에 대사구(大司寇) 이하 64관직, 동관편에 수인(輸人) 이하 31관직 등 모두 372관직을 망라해 각기 그 직무의 성격과 관장 사항을 서술하고 있다. 이 가운데 관직의 이름만 있고 내용은 유실된 것이 모두 16항목이다.

『주례』의 이러한 관직 체계는 후대의 국가 조직과 관직 제도에 큰 영향을 미쳤으니, 한대에 이미 관부(官府)를 육조(六曹)로 나누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수당(隋唐) 이후로는 중앙 정부로부터 지방에 이르기까지 모든 행정 조직이 이(吏) · 호(戶) · 예(禮) · 병(兵) · 형(刑) · 공(工)의 육부(六府) 혹은 육조의 형태로 정비되었다.

이 책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그 시기를 명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고이왕 때에 중국의 제도를 본떠 대신(大臣)으로 주8을 두었다고 하는 기록으로 미루어 볼 때 삼국 시대에 이미 그 영향이 부분적으로나마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고려에 들어오면 예종 때에 칠재(七齋)의 하나인 구인재(求仁齋)에서 『시경』 · 『서경』 · 『역경』 · 『예기』 · 『춘추』와 함께 『주례』를 가르쳤다고 하였으니, 고려 중기에는 이미 『주례』가 주요 유교 경전의 하나로서 국가의 공식 교육 기관에서 교육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이 본격적으로 연구, 인용되기 시작한 것은 성리학의 유입으로 인해 유교 경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유교 중심의 정치 체제를 구축할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된 고려 말기에 이르러서이다. 특히 권근(權近) · 정도전(鄭道傳) 등의 저술에는 『주례』의 구절이 직접 인용되고 있어 이들의 『주례』에 대한 이해가 상당히 깊었음을 말해 주고 있다. 조선조에 들어와서는 세종 때에 16책의 단행본으로 간행, 일반에 보급되었다.

일반적으로 조선조의 학자들은 주9보다 성리학에 더욱 관심을 기울였으므로 『주례』와 같은 선진 경전(先秦經典)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드물었으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성리학 일변도의 풍토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상을 모색하려는 경향이 일어나면서 몇몇 학자를 중심으로 『주례』 등의 선진 경전에 대한 활발한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가운데 허목(許穆)윤휴(尹鑴)는 각기 『주례』에 관한 저술을 남겼고, 정약용(丁若鏞)『춘추고징(春秋考徵)』에서 『주례』를 중심으로 다른 경전의 재해석 · 재구성을 시도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고려사절요』
『익재집(益齋集)』
『양촌집(陽村集)』
『삼봉집(三峯集)』
『미수기언(眉叟記言)』
『백호전서(白湖全書)』
『춘추고징(春秋考徵)』
「삼례개술(三禮槪述)」(유덕한, 『삼례연구론집』, 1981)
주석
주1

중국 역사에서, 춘추 시대 다음의 기원전 403년부터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기원전 221년까지 약 200년간의 과도기. 여러 제후국이 패권을 다투었던 동란기로 ‘전국 칠웅’이라는 일곱 개의 제후국이 세력을 다투었으며, 제자백가와 같이 학문의 중흥기를 이루었고, 토지의 사유제와 함께 농사 기술의 발달 따위로 화폐가 유통되기도 하였다.    우리말샘

주2

중국의 열세 가지 경서. ≪역경≫, ≪서경≫, ≪시경≫, ≪주례≫, ≪의례≫, ≪예기≫, ≪춘추좌씨전≫, ≪공양전≫, ≪곡량전≫, ≪논어≫, ≪효경≫, ≪이아≫, ≪맹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3

중국 주나라의 정치가(?~?). 문왕의 아들로 성은 희(姬). 이름은 단(旦). 형인 무왕을 도와 은나라를 멸하였고, 주나라의 기초를 튼튼히 하였다. 예악 제도(禮樂制度)를 정비하였으며, ≪주례(周禮)≫를 지었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말샘

주4

중국 전한 말기의 학자(B.C.53?~B.C.25?). 자는 자준(子駿)ㆍ영숙(穎叔). 유향(劉向)의 아들로 아버지와 함께 궁중의 비장서(祕藏書)를 교열하고, 부친이 죽은 후 이어온 일을 계승하였으며, 중국 최초의 분류 도서 목록인 ≪칠략≫을 완성하였다.    우리말샘

주5

쇠붙이와 돌, 살림살이에 쓰는 그릇 따위에 새겨 놓은 글.    우리말샘

주6

중국 후한의 학자(127~200). 자는 강성(康成). 마융(馬融)에게 배웠으며, 일경(一經) 전문(專門)의 학풍을 타파하고 훈고(訓詁)에 힘썼다. ≪육예론(六藝論)≫을 저술하였고, ≪시전(詩箋)≫, ≪예기≫, ≪주역≫, ≪논어≫, ≪효경≫ 따위를 주해하였다.    우리말샘

주7

중국 청나라의 학자(1848~1908). 자는 중용(仲容). 호는 주고(籒膏). 은허에서 출토된 저서에 ≪주례정의(周禮正義)≫, ≪온주경적지(溫州經籍誌)≫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8

백제 때에, 최고 관등에 속한 여섯 대신. 내신좌평, 내법좌평, 내두좌평, 위사좌평, 조정좌평, 병관좌평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9

사서오경을 연구하는 학문.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