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령 산신당 ( )

목차
관련 정보
죽령 산신당
죽령 산신당
민간신앙
유적
문화재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에 있는 다자구할머니 관련 신당. 산신당. 시도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에 있는 다자구할머니 관련 신당. 산신당. 시도민속문화재.
내용

1976년 충청북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주신인 죽령산신을 속칭 ‘다자구할머니’라고 하여, 죽령산신당을 ‘다자구할머니당’이라고도 부른다.

신라시대에는 나라에서 죽령산신에게 봄 · 가을로 소사(小祀)를 지냈고, 조선시대에는 죽령사(竹嶺祠)라는 사당을 짓고 관행제(官行祭)를 지냈으나, 지금은 용부원리 마을의 수호신으로서 동제를 지내고 있다. 이 신당에는 죽령산신 다자구할머니에 대한 유래담이 전해오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옛날 이곳에는 산적이 많아 백성을 괴롭혔으나 산이 험하여 나라에서도 토벌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 때 한 할머니가 나타나 관군과 짜고 큰아들 다자구와 작은아들 들자구를 찾는다는 핑계로 산적의 소굴에 들어갔다.

두목의 생일날 밤이라 모두 술에 취하여 잠들자 할머니는 다 잔다는 뜻으로 ‘다자구야’라고 외쳐 대기하고 있던 관군이 급습하여 산적을 모두 소탕하였다. 이 할머니가 죽어 죽령산신이 되었다고 한다.

신당 안에는 ‘竹嶺山神之位(죽령산신지위)’라고 쓴 위패가 모셔져 있다. 용부원리에서는 매년 음력 3월과 9월의 상정일(上丁日)에 용천(龍泉)의 상탕(上湯)물로 만든 음식과 통돼지 · 과일 등을 차려놓고 산신제를 지낸다.

옛날에는 죽령산과 인접한 충청도의 단양군수 · 영춘군수, 경상도의 풍기군수가 삼헌관(三獻官)이 되어 제사하였다고 한다. 지금은 단양군수 · 대강면장, 그리고 마을에서 생기복덕에 맞는 사람이 삼헌관이 되어 관민이 함께 제사한다.

제관들은 관복을 입고 〈죽령산식제홀기 竹嶺山式祭笏記〉에 따라 마치 향교에서 석전제(釋奠祭)를 지내는 것처럼 엄숙한 분위기로 진행한다. 따라서, 동제라고 하나 아직도 관행제의 유풍이 남아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
『문화재지』(충청북도, 1982)
「충청북도민속연구」(김영진, 『청주대학교논문집』 7, 1976)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김영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