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건곤가(乾坤歌)」라고도 한다. 중국에도 악부(樂府)의 이름으로 「죽지사」가 있었는데, 그와 비슷한 가사로 향토의 경치·인정·풍속 등을 읊은 작품이다.
「어부사」·「황계사」·「행군악」등과 같이 분연체(分聯體)이며 후렴이 각 장마다 붙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건곤에 불로월장재(不老月長在)하니 적막강산(寂寞江山)이 금백년(今百年)이로구나 (후렴) 어희요 이히요 이히요 이히야 어-일심정념(一心精念)을 극락나무아미상(極樂南無阿彌像)이로구나 야루 너니나야루나…….” 각 절마다 같은 후렴이 붙는다.
황종(黃)·태주(太)·중려(仲)·임종(林)·남려(南)의 우조적 5음음계이다. 6박을 한 장단으로 하며, 각 절의 장단수는 각각 16장단인데, 이 중에서 원곡이 6장단이고 후렴이 10장단이다.
후렴의 가락은 4절 모두 같고 원곡도 같다. 따라서, 1절의 가락이 절의 바뀜에 따라 반복되므로 「죽지사」는 유절가곡(有節歌曲)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노래의 음역은 배임종(㑣)―청임종(淋)까지 두 옥타브로서 주로 중음역을 많이 쓴다.
노래 가운데 배임종음은 4도 진행을 하게 되는데, 이 때 배임종음을 굵게 떨고 나머지 음들은 정악(正樂)과 같이 부드럽게 요성(搖聲)한다. 또, 남려에서 임종, 중려에서 태주로 하행할 때 퇴성을 쓴다.
원곡은 하행 4도, 후렴은 반대로 상행 4도 종지로서 짧게 끝맺는다. 가락을 이루는 주요 음정은 없으나 장식선율 외에 3도와 4도가 주축을 이루고 비교적 긴 리듬이 많으므로 시원하고 산뜻한 멋을 풍겨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