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경지 ()

목차
관련 정보
중경지
중경지
인문지리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조병기 등이 김이재가 1824년에 편찬한 『중경지』를 증보하여 1885년에 간행한 개성부 읍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조병기 등이 김이재가 1824년에 편찬한 『중경지』를 증보하여 1885년에 간행한 개성부 읍지.
내용

11권 6책. 목활자본. 김이재는 당시 전하고 있던 읍지들의 합편을 만들면서 읍지의 이름을 새롭게 ‘중경지’라고 명명하였다.

이는 개성이 고려의 유허일 뿐만 아니라 조선 시대에 들어서도 한양·평양(西京)과 함께 삼경(三京)의 하나로서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는 자부심과 의의를 반영하고 있다.

이 읍지는 바로 공역(工役)에 붙여졌으나, 유수가 체임되어 1830년서희순(徐熹淳) 재직시에 완성되었다. 내용구성은 권두에 서(序), 목록, 구지(舊誌)의 서·발(1648∼1830년까지 10편), 전지범례(前誌凡例), 신지범례(新誌凡例), 중경폭원도(中京幅員圖), 중경성내도(中京城內圖) 등이 있다.

그리고 권1에 고려기년(高麗紀年)·국조기사(國朝紀事), 권2에 강역(疆域)·연혁(沿革)·군명(郡名)·성곽(城郭)·봉수(烽燧)·부방(部坊)·관원(官員)·성씨(姓氏)·호구(戶口)·전제(田制)·풍속(風俗)·토산(土産), 권3에 산천(山川)·명승(名勝), 권4에 궁전(宮殿 : 附 樓亭, 院閣)·관해(官廨 : 附 省署館監)·능묘(陵墓), 권5에 학교(學校)·사단(祠壇)·사전(祀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권6에 관방(關防)·병제(兵制)·직역(職役)·늠료(廩料)·우발(郵撥)·교량(橋梁)·사찰(寺刹), 권7에 고적(古蹟 : 附 堂第)·제영(題詠), 권8에 인물(人物)·재행(才行)·충신(忠臣)·효자(孝子)·효부(孝婦)·열녀(烈女)·증보(增補), 권9에 부록, 권10에 문과(文科)·음사(蔭仕)·사마(司馬)·무과(武科)·무음(武蔭), 권11에 유수(留守)·경력(經歷)·도사(都事)·교수(敎授)·분교관(分敎官)·여릉참봉(麗陵參奉)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읍지는 1782년(정조 6)에 편찬된 ≪송도지≫를 저본으로 하여 작성되었기 때문에, 기본적인 체제는 ≪송도지≫와 유사하나 내용이 보다 상세하고 풍부하다는 특징을 지닌다.

‘고려기년’과 ‘국조기사’는 일반 읍지에서는 다루지 않은 항목이다. 여기에는 고려조·조선조의 역대 왕들의 재위 기간 및 주요 사적을 간략히 서술하였다.

개성이 고려의 왕도였음을 의식하고 대부분의 항목에서 고려 시대의 내용을 빠짐없이 기록하려는 노력을 하였기 때문에, 개성의 읍지라는 의미를 넘어 고려 시대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다. 더욱이, 많은 사서들을 참고하고 그 출처를 밝혀 놓아 고려 시대 연구에 관련된 사료들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조선 전기에 편찬된 개성부의 마지막 읍지로서 개성의 역사와 지역 실정이 종합적으로 정리되어 있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한국인문과학원에서 발행한 ≪조선시대사찬읍지≫ 제4·5권으로 영인되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또한, 1881년(고종 18)에 증보 간행된 ≪중경지≫가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송도지(松都誌)』
『송경광고(松京廣攷)』
『송도속지(松都續誌)』
『고려고도징(高麗古都徵)』
『개성부지(開城府誌)』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