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경언해 ()

목차
관련 정보
지장경언해
지장경언해
언어·문자
문헌
불교경전인 『지장보살본원경』을 풀이하여 1762년에 간행한 언해서. 불교경전언해서.
목차
정의
불교경전인 『지장보살본원경』을 풀이하여 1762년에 간행한 언해서. 불교경전언해서.
서지적 사항

상·중·하 3권 1책. 목판본. 원명은 『지장보살본원경언해(地藏菩薩本願經諺解)』이다. 『월인석보』 권21에 수록된 『지장경』 부분을 18세기에 중간한 책이다.

현재 전하는 책은 1762년(영조 38)에 문천(文川)두류산(頭流山) 견성암(見性菴)에서 간행한 것과 1765년에 약사전(藥師殿)에서 간행한 것, 그리고 1791년(정조 15)에 순천 송광사(松廣寺)에서 간행한 것과 1879년(고종 16)에 경기도 양주 천마산 보정사(寶晶寺)에서 개간한 것 등이 있다. 견성암판과 약사전판은 한문으로 된 서문 이외에는 모두 한글로 되어 있다.

내용

변상도(變相圖) 서문과 주문(呪文)의 뒤에 본문이 시작되는데, 이 본문 앞에 ‘지장보살본원경언ᄒᆡ 권샹’, ‘월린쳔강지곡 졔이십일’, ‘셕보샹 졔이십일’(釋譜詳節의 ‘節’이 빠져 있다.)과 같이 세 가지 제목이 나란히 적혀 있어서 『월인석보』 권21과의 관계를 알 수 있다.

본문은 『월인천강지곡』 제412부터 제417까지를 간행당시의 표기법에 따라 고쳐 써 놓은 다음에 ‘도리텬궁신통품(忉利天宮神通品)’ 등 13품을 상·중·하로 나누어 실었는데, 각품(各品)의 아래에 『월인석보』 권21의 『석보상절』 부분의 전문을 나누어 쓰고 있다.

문장의 구조는 15세기의 것 그대로지만, 표기에 있어서는 ‘칼[刀], 코[鼻], 부쳐[佛], 여ᄃᆞᆲ[八]’ 등과 같이 15세기의 표기와 음을 따르지 않고 있다.

이 문헌에 나타난 국어학적 특징을 견성암판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ㄷ구개음화현상이 나타난다(‘부텨의’ 中 6a∼‘부쳐’ 中 11a). 원순모음화현상이 보인다(‘불’ 上 19b∼‘블’ 上 20a). 어두유기음에 ○이 보인다(‘○시라’ 上 13b∼‘타소로’ 中 7b). 어말자음 ㅅ과 ㄷ이 혼용된다(‘엇○’ 上 8a∼‘얻던’ 上 6b). 다음과 같은 특이한 예들이 보인다(‘여ᄃᆞᆲ비오’ 上 12b, ‘즌흘 ᄇᆞᆯ보며’ 中 14b, ‘엄마님이’ 上 13a 등).

견성암판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고, 약사전판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과 규장각도서 등 여러 곳에 소장되어 있다. 특히, 약사전판은 판식·내용·표기 등이 견성암판과 동일하나 각 구절마다 구두점이 찍혀 있어 차이를 보인다.

이 구두점은 구두점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여 준다. 송광사판은 음역본(音譯本)으로 각 한자의 왼쪽에 한자음을 달아놓았다. 보정사판은 번역이 완전히 달라져 있는데 새로운 언해이다. 송광사판과 보정사판은 여러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밖에도 『지장경언해』는 20세기 이후에 많이 간행되었다. 『지장경언해』 이외에 한문본 『지장보살본원경』에 한자로 구결을 달아놓은 것도 있었다. 이 『지장경언해』는 근대국어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하지만 주로 음운론의 면에서 이용하는 것이 좋다. 문법론연구의 자료로 이용할 때에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고친 한글갈』(최현배, 정음사, 1971)
『朝鮮語學史』(小倉進平, 刀江書院, 1940)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