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탁 ()

목차
관련 정보
삼봉집
삼봉집
불교
인물
조선후기 견불산 강서사(江西寺)로 출가해 뛰어난 문장력을 가지고 『삼봉집』을 남긴 승려.
이칭
화악(華嶽), 삼봉(三峰)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50년(영조 26)
사망 연도
1839년(헌종 5)
본관
청주(淸州)
목차
정의
조선후기 견불산 강서사(江西寺)로 출가해 뛰어난 문장력을 가지고 『삼봉집』을 남긴 승려.
내용

청주한씨(淸州韓氏). 법호는 화악(華嶽). 삼각산에 오래 머물렀다 하여 삼봉(三峰)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상덕(尙德)이다. 견불산 강서사(江西寺)로 출가하여 성붕(性鵬)의 제자가 되었다.

금강산과 보개산(寶蓋山)에 오래 머물렀는데, 『수능엄경(首楞嚴經)』을 만 번 읽고 도를 깨쳤다. 행장에 의하면, 영특하여 불교학에 통달하고 꾸준한 행실과 뛰어난 문장력으로 세상에 이름을 떨쳤으며, 김정희(金正喜)와 교의가 두터웠다.

문손(門孫)인 혜소(慧昭)는 『삼봉집(三峰集)』 발문에서, “사미(沙彌) 때 그를 금강산유점사(楡岾寺)에서 뵈니, 칠순에 접어들었는데 용모는 단정하고 우아하였으며, 정신은 청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목소리도 낭랑하고 만면에 자비를 띠고 사람들을 교화하므로 부처의 출세인 듯 여겼다.”고 기록하였다.

1839년 5월 5일 금강산장안사(長安寺)지장암(地藏庵)에서 임종게(臨終偈)를 남기고 입적하였다. “한없는 세월 동안 여러 선행을 두루 닦으니, 만법은 하나로 돌아가고 하나는 공으로 돌아가네. 자가의 본래 일을 이루지 못하니, 구십 년 세월이 허황한 꿈이더라(窮劫歷修諸善行 萬法歸一一歸空 自家本事未成就 九十年充幻夢中).”

통도사(通度寺)와 운봉사(雲峰寺)에 초상화가 봉안되어 있고, 100여 명 제자 가운데 화담 경화(華潭敬和)가 가장 뛰어났다. 저서로는 문집인 『삼봉집』이 있다.

참고문헌

『삼봉집(三峰集)』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