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에는 전국에 13조창을 설치하고 조운(漕運)을 통하여 각 지방의 세곡(稅穀)을 개경으로 운반하였다. 진성창(鎭城倉)은 전라도 전주와 그 주변 지역의 세곡(稅穀)을 모아 개경의 경창(京倉)으로 운송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진성창은 고려 초기에 설치한 전국 12조창 중 하나로, 현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의 금강 하구 연안에 위치하였다. 고려 초기 성종 연간(981~997)에는 진성창이 있었던 포구를 조종포(朝宗浦)라고 불렀으며, 그 이전에는 진포(鎭浦)라 하였다. 992년(성종 11) 개경까지의 수경가(輸京價, 조운선의 운반 비용)를 정할 때에, 진성창이 있던 조종포에서 개경까지는 세곡 9석 당 1석의 운반 비용을 책정하였다. 진성창의 수세(收稅) 구역에는 전라도 전주(全州)와 임피(臨陂), 진례(進禮, 현 충남 금산군), 그리고 그 속군현(屬郡縣)들이 중심이 되었다. 진성창이 있던 금강 수계에는 조선시대에도 성당창(聖堂倉)과 군산창(群山倉) 등 2개의 조창이 존재하였다.
진성창의 현 위치는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성산면 창오리로 비정되고 있다. 창오리에는 창동과 창안마을이라는 지명, 진성창 터로 알려진 지점, 창안토성, 창안석불 등 조창과 연관되는 흔적들이 다수 확인되고 있다. 다만 창오리에서는 배가 정박할 만한 포구의 지형을 찾기 어려운 까닭에, 조종포를 비정할 만한 장소가 없다. 이에 창오리 창안마을에서 직선거리로 1㎞ 정도 동북쪽에 떨어져 있는 군산시 성산면 대명리와 나포면 서포리의 경계 지점 부근을 조종포의 유력한 입지로 파악하고 있다. 이 지역은 배후에 해발 50m 가량의 구릉이 존재하고, 옥곡저수지에서 나오는 개울의 물줄기가 금강으로 흘러들어가는 지점에 해당한다. 현재 이 일대는 농경지로 개간되어 있으나, 과거에는 금강 하구로부터 남쪽으로 들어온 만(灣)에 면한 지형이었다. 한편 조종포의 위치를 금강 하구와 바로 맞닿아 있는 현 군산시 나포면 서포리의 서포마을로 비정한 견해도 있으나, 진성창 터와 직선거리로 4㎞ 가량 떨어져 있어 조종포의 입지로 보기에는 너무 멀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래 서포리 서포마을에 있던 진성창이 고려 말기 왜구의 침략으로 창오리 창안마을로 이전하였다가, 1390년에 용안 득성창으로 다시 이전했다는 견해도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 견해 역시 서포리 일원에서 고려시대 조창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려사』에는 정종(靖宗) 때(10341046) 전국 각 조창에 배치할 조운선의 숫자를 정하면서, 진성창에는 1척 당 1000석의 곡식을 실을 수 있는 초마선(哨馬船) 6척을 두었다고 한다. 진성창에 모인 세곡은 서해안을 따라 개경의 경창으로 운송되었다. 진성창을 비롯한 13조창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조창을 드나드는 세곡의 보관 및 운송과 관련된 실무를 담당했을 것이며, 13조창에는 판관(判官)이 임명되어 각 조창에서의 세곡 운송과 보관을 관리, 감독하였다. 인종 때(11221146) 개정된 외관(外官)의 녹봉 규정에 따르면, 13창의 판관에게는 20석의 녹봉이 지급되었다.
진성창은 1358년(공민왕 7) 왜구의 침략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이에 고려 정부는 바다에 면한 창고들을 내륙으로 옮기도록 조치하였다. 진성창의 경우, 이때 폐쇄되었는지 아니면 내륙의 어느 곳으로 이전하였는지는 분명히 알 수 없다. 다만 1390년(공양왕 2) 용안(龍安) 진포(鎭浦)에 득성창(得成倉)이 설치되었다. 득성창은 진성창 일대보다 금강을 거슬러 올라온 지점에 해당하였다. 왜구의 침략으로 인하여 외해(外海)와 가까운 진성창 일대가 큰 피해를 입자, 득성창은 진성창의 대안으로 좀 더 내륙 지점에 새로이 만들어진 조창이었다. 이때 득성창의 위치는 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용안면 용두리 · 창리 지점으로 비정된다.
진성창은 고려시대 전국에 설치된 13조창 중 하나로서, 전라도 전주와 그 주변 지역의 세곡을 모아 개경의 경창으로 운송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금강 하구 지점에 위치했던 진성창은 고려 말기 왜구의 침략으로 큰 피해를 입어 조창으로서의 역할이 크게 위축되고, 1390년 용안 득성창에 그 기능을 넘겨주게 되었다. 그러나 진성창은 고려시대 금강 수계의 유일한 조창으로서 전주 일대 세곡의 경창 운송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한 조창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