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객사 ()

목차
관련 정보
창녕객사
창녕객사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조선후기 주심포 맞배지붕 형태의 관청. 객사.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창녕 객사(昌寧 客舍)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3년 08월 06일 지정)
소재지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 28-22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조선후기 주심포 맞배지붕 형태의 관청. 객사.
내용

정면 3칸, 측면 3칸의 주심포(柱心包) 맞배지붕건물. 1983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924년 현 술정리 상설시장이 개발되면서 그 터의 중심 건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이전하였다.

마루가 없고 지붕의 산자(橵子 : 흙을 받치기 위하여 엮어 까는 나뭇개비)가 드러나 보인다. 이 장옥은 높이 2.85m, 둘레 1.5m의 나무기둥 14개로 지붕을 받치고 있는데, 용마루와 서까래 이음부분 등 건물 전체에 쇠못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건립연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그 양식으로 보아 조선 후기로 추정된다. 객사의 일부를 이건하면서 다소 개변된 것이며 대부분의 헌 목재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이음과 맞춤의 흔적으로 미루어보아 복원한 관아의 건물이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