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이문원 측우대 ( ▽)

목차
관련 정보
창덕궁 측우대
창덕궁 측우대
과학기술
유물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창덕궁에 있던 측우기의 받침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昌德宮 ?文院 測雨臺)
분류
유물/과학기술/천문지리기구/천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2020년 02월 27일 지정)
소재지
서울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창덕궁에 있던 측우기의 받침대.
개설

2020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15세기 초 세종 때에 세계에서 처음으로 만든 측우대는 그 뒤 여러 번 만들어 전국에 보급하였지만, 조선시대의 것으로 지금 남아 있는 것은 측우기가 하나, 측우대가 넷뿐이다.

이 측우대는 그 가운데 하나로 특히 측우기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긴 명문이 대리석 4면에 남아 있는 측우대로 기상학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대리석제로 만들었으며, 높이는 30.3㎝, 너비는 45.3×45.5㎝이다.

내용

이 명문에 의하면, “1782년(정조 6) 정조가 여름가뭄을 걱정하여 창덕궁의 이문원(璃文院) 앞마당에 측우기를 만들어 세웠다”고 적혀 있다. 기우제를 지내고, 언로를 열며, 죄인을 풀어주는 등의 조처가 계속되자, 가뭄이 그치고 비가 흡족하게 내렸다. 이를 기념하여 임금과 백성의 근심과 기쁨이 함께 얽혀 이 측우기를 만들었다고 직제학 심염조(沈念祖)는 글을 지었다. 1782년의 가뭄 끝에 새로 측우기와 측우대를 만들었는데, 그 가운데 측우대만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황

이 측우대는 1910년에는 창덕궁 규장각 앞뜰에 있었고, 1920년쯤에는 당시 경성박물관 앞 계단에 옮겨졌는데 그 때까지도 측우기가 그 위에 함께 있었다. 그 뒤 6 · 25전쟁 때 측우기는 없어지고 측우대만 남아,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과학문화재 조사보고」(전상운외, 『한국과학사학회지』6, 1984)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