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7.5m. 석탑은 망제(望帝)마을 서쪽의 산기슭에 있다. 이곳은 천곡사 터라고 전하므로, 석탑의 현재 위치가 원래의 자리로 보이며, 원형 그대로 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석탑은 받침 부분인 기단부(基壇部) 위에 탑신부(塔身部)와 상륜부(相輪部)를 갖춘 일반형 석탑이다. 기단부는 몇 장의 길고 큰 돌로 짜여진 층단의 모습을 하고 있다. 곧 바닥돌은 거칠게 다듬은 여러 장의 돌로 이루어졌으며, 그 위에는 바닥돌보다 잘 다듬은 2장의 널돌을 결구(結構)하여 단층의 받침돌로 삼았다. 받침돌의 면석에는 아무런 조각이 없으며, 면석의 윗부분에는 덮개돌 모양의 굽을 둘렀다. 덮개돌 윗면은 약간 경사졌는데, 가운데 부분에 몸돌을 받치기 위해서 테두리를 깎아낸 낮은 굄대를 두었다. 이러한 받침돌의 구조는 앞선 시기에서는 볼 수 없었던 특이한 것이다.
탑신부는 전체적으로 길고 높게 보인다. 13층 몸돌을 제외한 나머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다. 1층 몸돌은 4장의 돌로 조립되었는데, 유난히 가늘고 길어서 마치 네모 기둥처럼 생겼으며, 각 면에는 모서리 기둥이 표현되지 않았다. 23층 몸돌은 2장의 돌로 이루어졌는데, 매우 높은 1층 몸돌에비해 체감률이 적다. 2층 이상의 몸돌에는 모서리 기둥이 조각되어 있다.
지붕돌은 너비가 좁고 높이는 두꺼워서 둔중한 느낌을 준다. 윗면은 평박(平薄)하여 낙수면과 내림마루인 우동(隅棟)이 완만하게 경사졌지만, 합각(合角)의 선은 예리한 편이다. 꼭대기에는 1단의 각진 굄이 돋을새김되었으며, 수평을 이룬 추녀에는 얕은 낙수홈이 조각되어 있다. 특히 지붕돌 밑면에는 한 변에 4개씩 모두 16개의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곧 꽃잎이 위로 솟은 연꽃 무늬는 추녀의 옆면부터 밑면 전체까지 길고 좁은 모습으로 가득 채워져 있으며, 꽃잎 안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다. 이처럼 지붕돌 밑면에 연꽃무늬가 조각된 것은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국보, 1962년 지정)에서도 확인되지만,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석탑에서만 보이고, 고려시대 석탑에서는 유례를 찾기 힘들다. 머리장식인 상륜부에는 노반(露盤)만 남아 있을 뿐, 나머지는 모두 없어졌다.
이 석탑은 받침돌의 구조를 비롯하여 각 부분의 결구 방법이 매우 치졸하고, 조각 또한 세련되지 못하다. 정연하지 않으면서 변형된 양식과 조성 수법으로 보아, 건립 시기는 대체로 고려 중기 이후로 추정된다. 다만, 이러한 특이한 양식과 수법은 우리나라 석탑 연구에서 중요한 사례로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