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구 ()

목차
가족
의례·행사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외빈에 모셨던 영구를 마루(廳 혹은 堂)로 옮기는 상례의식. 상례.
목차
정의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외빈에 모셨던 영구를 마루(廳 혹은 堂)로 옮기는 상례의식. 상례.
내용

예서와 실제의 절차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서의 절차는 발인(發靷) 하루 전날 아침에 복인(服人)이 모두 모여 조전(朝奠:장례에 앞서 아침마다 영전에 음식을 차리고 올리는 의식)을 올리고 천구할 것을 고한다.

조전에서 축관이 술을 따르고 북쪽을 향하여 꿇어 앉아 “이제 좋은 때에 영구를 옮길 것을 아룁니다.” 하는 고사(告辭)를 읽고 일어나면 상주 이하 복인들이 곡을 하고 두 번 절한다.

그 다음에 영구를 받들고 사당에 옮긴다. 영구를 옮길 때는 일꾼들이 들어오고 부인들은 피하며, 복인들은 서서 지켜본다. 옮기는 과정은 축관이 앞에 엎드려 고한 다음에 혼백을 받들고 앞장선다. 그 뒤에 집사(執事)가 제물과 탁자를 받들고 뒤따른다. 그 뒤에는 명정과 영구가 뒤따르며, 복인들은 모두 곡하면서 영구의 뒤를 따른다.

남자는 오른쪽에 서고 여자는 왼쪽에 서며 중(重)한 복인은 앞에 서고 가벼운 복인은 뒤에 서야 한다. 복이 없는 사람은 복인들의 뒤를 따른다. 이때 부인들은 모두 상포로 머리를 덮는다. 행렬이 사당 앞에 이르면 집사가 먼저 자리를 깔고 일꾼들이 그 위에 영구를 내려놓되 머리를 북쪽으로 향하게 한다. 이때 부인들은 머리에 쓴 상포를 벗는다.

축관이 집사를 거느리고 영좌(靈座)와 제물을 영구 서편에 차리고 동쪽을 향하여 서면 복인들은 서서 곡을 한다. 이와 같이 사당에 가서 알현하는 절차를 조조(朝祖)라고 한다. 조조가 끝나면 영구를 마루로 옮긴다. 먼저 집사가 마루에 휘장을 치면 일꾼은 들어오고 부인은 자리를 피한다. 그 다음에 축관이 혼백을 받들고 영구를 인도하여 앞선다. 복인들은 사당에 갈 때와 같이 울며 따른다.

마루에 이르러 집사가 자리를 깔고 일꾼이 자리 위에 영구를 놓되 머리를 남쪽으로 향하게 한다. 축관이 영좌와 제물을 영구 앞에 마련하며 복인들은 제자리에 앉아서 곡을 한다. 그 날 저녁에 저녁 제사를 지내고, 그 이튿날에 영구를 상여(喪轝)로 옮긴다. 이때 축관이 “이제 영구를 상여에 옮김을 알립니다.”하는 고사를 올린다. 이로써 천구의 모든 절차는 끝난다.

일반관행에서는 천구의 절차를 생략하고, 대신 발인하기 하루 전날 해질 무렵에 일포제(日脯祭)를 크게 지낸다. 영좌에 상식(上食)과 겸하여 제물을 차리고, 상주가 분향, 헌작, 재배하고 축관이 고축을 하면 곡을 하고, 일반 복인들도 곡을 한 다음 재배하여 일포제를 마친다. 이와 같은 일포제가 천구의 의미를 지니는 것은 아니다.

참고문헌

『가례(家禮)』
『상례비요(喪禮備要)』
『사체편람(四禮便覽)』
『상변통고(常變通攷)』
「한국의 상례」(김택규, 『영대문화』 16, 영남대학교, 1983)
집필자
이완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