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직업학교 ()

목차
제도
교육부의 지원 아래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청소년들에게 직업 기술교육을 실시하는 사회교육기관.
목차
정의
교육부의 지원 아래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청소년들에게 직업 기술교육을 실시하는 사회교육기관.
내용

1960년대 이후 급격한 공업화·산업화의 추세에 따라 교육 발전의 측면에서는 과학기술교육을 진흥하려는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그것은 1963년 <산업교육진흥법>의 제정, 경제개발계획의 일환으로서의 실업기술교육시설 확충, 교육 차관 등에 의한 실험실습시설 및 설비의 정비 등 다각적인 시책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흐름 속에서 상급 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청소년들을 위한 직업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상호연관된 중요성을 가지고 있었다.

1966년부터 각 시·도 교육위원회가 청소년직업학교를 설치, 운영하게 된 것은 이와 같은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여 미진학 청소년들로 하여금 직업기술교육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그들 자신의 자기 실현을 도모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국가사회의 기능인력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일조하도록 하는 정책적 의의를 내포하는 것이었다.

청소년직업학교는 정규 학교교육의 일환으로서가 아니라 일종의 사회교육사업으로 시작된 것이었다. 따라서 그 경비는 국고와 지방비에서 부담하게 되었고, 사회복지사업의 성격을 띤 면도 없지 않았다.

교육부 산하에서 교육행정당국의 지원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노동청 산하의 직업훈련소, YMCA나 YWCA, 기타 사회단체의 봉사활동으로 추진되어 온 직업훈련계획과도 일맥상통한 점이 있다. 다만, 교육행정당국이 사회교육을 확충하여 새로운 청소년 교육의 기회를 제공했다는 데 획기적인 의의가 있었다.

주로 기존 실업계 고등학교의 시설과 설비 및 교원 등을 활용하여 개설하게 되었는데, 이는 경비의 절감, 시설과 인적 자원의 활용 등을 기하려는 것이었다. 따라서 수업은 학교의 형편 및 혜택을 받는 학생들의 사정에 맞도록 주간제뿐만 아니라 야간제와 계절제 등을 적용할 수 있게 하였다.

참고문헌

『문교통계연보』(문교부, 1972∼1988)
집필자
김종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