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석정관일출 ()

연암집 / 총석정관일출
연암집 / 총석정관일출
한문학
작품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총 70구 490자의 장편 고시다. 그의 문집인 『연암집(燕巖集)』 제4권 영대정잡영(映帶亭雜咏) 속에 수록된 42수의 시 가운데 한편이다.

내용

「총석정관일출」의 그 내용은 대체로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부분은 총석정 근처의 숙소에서 잠을 설쳐가며 다음날의 일출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기대와 가슴 설레는 초조감을 노래하였다.

둘째부분에서는 총석정에 도착하여 해가 뜨기 직전까지의 바다풍경을 상세히 묘사하였다. 특히, 해뜨기 직전의 바다는 음산하고 흑풍이 몰아치며, 모든것을 파괴하려는 듯 혼돈과 무질서의 극치를 이루며 이 세상의 종말이 오는 듯한 분위기로 묘사하였다. 그럼으로써 다음에 올 일출의 장엄한 모습에 대한 대칭적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셋째부분은 해뜨는 장면의 묘사로서 둘째부분에서의 어둡고 침침한 분위기와 광란과 혼돈에 대한 정반대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희열과 밝고 명랑한 어조를 이어낸다. 곧, 해뜨는 모습을 오색의 꿩가슴, 아름다운 비단, 붉은 산호나무 등으로 묘사하여 희망과 활기에 찬 기운을 불어넣었다. 끝에 가서 작자 특유의 익살로 그런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조화옹의 노고를 덧붙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총석정관일출」은 어둠을 거부하고 밝은 미래를 그려냈다. 그럼으로써 우주의 혼돈과 질서를 중심한 작자의 삶의 본질적인 세계를 나타내려고 하였다. 일출장면을 읊은 시는 많으나 이 시가 특히 주목을 받으며 칭송되는 것은 강운(强韻)인 증(蒸)자 운을 35운이나 연결시켰는데도 조금의 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총석정관일출」의 일출장면에 대해서도 밝음과 어둠의 세계를 대칭적으로 놓고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신비스러운 색채감의 혼합을 통한 시의 회화적 기법은 일출 직전의 광란하는 바다의 몸부림과는 묘한 대조를 이루면서 인간의 삶의 본질적인 문제까지 접근하려는 작자의 의도를 엿보게 한다. 시에 있어서 음악성과 회화성의 극치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연암집(燕巖集)』
「박지원(朴趾源)의 총석정관일출(叢石亭觀日出)과 박두진(朴斗鎭)의 해가 지향(志向)하는 것」(박노준, 『고전문학연구』 3, 1986)
「연암(燕巖)의 시(詩)에 대하여」(송재소, 『이조후기한문학의 재조명』, 창작과 비평사, 198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