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전 ()

고대사
제도
통일신라시대, 경덕왕이 관호를 개혁할 때에 설치된 궁중 수공업 관사.
제도/관청
설치 시기
681년(신문왕 1년)
상급 기관
내성
내용 요약

추전(鞦典)은 통일신라시대에 경덕왕이 관호를 개혁할 때에 설치된 궁중 수공업 관사이다. 신라 내성 산하의 관사로서 말고들개를 제작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경덕왕의 관호 개혁 이전에 궁중에 필요한 가죽 제품을 피전(皮典)과 피타전(皮打典)에서 생산하던 것을, 관호 개혁과 함께 제품별 생산 관사로 분화되면서 설치되었다. 고려시대에는 관영 수공업 관사인 중상서(中尙署)에 통합되었다.

정의
통일신라시대, 경덕왕이 관호를 개혁할 때에 설치된 궁중 수공업 관사.
기능과 역할 및 변천

신라 내성 산하의 궁중 수공업 관사로서 말고들개를 제작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직관지(중)에 그 명칭만이 전한다. 이들 궁중 수공업 관사에 대한 내용은 대부분 문무왕 대부터 혜공왕 대에 이르는 시기의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먼저 681년(신문왕 1년)에 본피궁을 내성 산하 관사로 설치하면서 중고기부터 있었던 궁중 수공업 관사를 본피궁을 수반으로 일련의 체계를 갖추었다. 다시 759년(경덕왕 18)에 관호를 개혁할 때에 해당 관사의 직능에 따라 기구를 조정하였다. 이는 중국과의 교역품을 효과적으로 조달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 수공업 기술상의 변화 때문이었다. 곧 경덕왕이 관호를 개혁하기 전에는 원료의 종류에 따라 운영하였으나, 경덕왕이 관호를 개혁한 후에는 일련의 생산 공정에 따라 분업화되었다.

다만 가죽 제품을 생산하는 관사의 경우 피전(皮典)피타전(皮打典)만이 관호 개혁 이전에 있었고 그 이후에 제품별로 다시 구분, 정비되었다. 곧 피전과 피타전에서 가죽을 다루고 무두질하여 각 제품의 생산을 위하여 각각의 생산 관사에 보낸다. 그러면 피타전에서는 북류[鼓類]를, 탑전화전(靴典)에서는 가죽 신발과 가죽 장화를, 추전에서는 말고들개를 제작하였다.

이처럼 생산 공정에 따라 여러 개로 나뉘었던 추전을 비롯한 가죽 생산 관사는 고려시대에 칠전(漆典)이나 석전(席典) · 궤개전(机槪典) · 양전(楊典) · 와기전(瓦器典)과 함께 관영 수공업 관사인 중상서(中尙署)에 통합되었다.

의의 및 평가

신라 궁중 수공업 관사가 경덕왕 대에 증치 · 변화한 것은 생산 공정에 따라 분업화되었음을 반영한다. 또한 신라 궁중 수공업 관사가 고려 관제에서는 잡직서 · 도염서 · 중상서 등으로 통합되고, 내성 산하 기구가 고려시대에 독립된 것은 왕실의 사적 경영의 성격이 강한 궁중 수공업이 조세제와 국가의 통치 체제에 바탕을 둔 관영 수공업에 통합되었음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

단행본

홍희유, 『조선중세수공업사연구』(과학백과사전출판부, 1979; 지양사, 1989)
박남수, 『신라수공업사』(신서원, 1996)

논문

三池賢一, 「新羅內廷官制考 下」(『朝鮮學報』 62, 1972)
三池賢一, 「新羅內廷官制考 上」(『朝鮮學報』 61, 197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