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숙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신라의 석씨 왕족으로서 15대 기림이사금의 아버지이다.
이칭
이명
걸어(乞馭)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이찬(伊飡)
내용 요약

걸숙은 삼국시대 신라의 석씨 왕족으로서 15대 기림이사금의 아버지이다. 『삼국사절요』에는 걸어(乞馭)라고 하였다. 아버지는 제11대 국왕 조분왕(助賁王)이며, 어머니는 나해왕(奈解王)의 딸 아이혜부인(阿爾兮夫人)이다. 제12대 점해이사금의 아우이다.

정의
삼국시대 신라의 석씨 왕족으로서 15대 기림이사금의 아버지이다.
가계 및 인적 사항

걸숙(乞淑)은 15대 기림이사금(基臨尼師今, 재위 298~310)의 아버지로서 석씨 왕족이다. 『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에는 걸어(乞馭)라고 하였다. 『삼국사기』 기림이사금 즉위년조에는 걸숙을 15대 기림이사금의 아버지 또는 11대 조분이사금((助賁尼師今, 재위 230∼246)의 손자라는 두 가지 설을 전한다.

내용

‘기림이사금의 아버지’라는 설에 따른다면, 걸숙은 조분이사금의 아들인 셈이다. 만일 걸숙이 조분이사금의 손자라는 설에 따른다면 기림이사금과 형제간이 된다. 『삼국유사』 왕력에는 기림니질금(基臨尼叱今)을 제분왕(諸賁王: 주1)의 둘째 아들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는 『삼국사기』에서 조분이사금의 장자인 유례이사금(儒禮尼師今, 재위 284∼297)과 그의 아우 걸숙이 있었다고 하고, 걸숙을 기림이사금의 아버지라고 한 사실과 어긋난다.

기림과 걸숙의 관계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 기림이사금 즉위년조의 기사가 유일한 만큼, 걸숙과 기림을 부자간으로 기술한 것을 존중하는 것이 옳을 듯하다. 따라서 걸숙은 조분이사금의 장자인 유례이사금과 신라 제10대 나해왕의 딸 앙혜부인의 동모 형제였다. 그의 관등이 이찬(伊飡)에 이르렀다고 전하지만, 당시에 이찬의 관등이 설치되었다고 여겨지지 않으나 최고위의 귀족이었음에는 분명하다. 유례이사금이 죽은 이후 그의 아들 기림이사금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한편으로, 『삼국유사』 왕력에서 기림이사금의 어머니를 아이혜부인이라고 한 것은, 기림이사금을 조분왕의 둘째 아들로 여긴 데서 비롯한 것으로서, 주2으로 여겨지지만, 아이혜부인이 조분이사금의 왕비임에는 분명하다.

신라 상고기(上古期)에는 무엇보다도 전왕(前王)의 태자(장자) 또는 적자가 왕위 계승의 우선순위였다. 이전 왕의 손(孫)이 왕위를 승계한 경우는 석씨 왕계의 기림이사금이 유일하고, 형제상속도 점해이사금(詀解尼師今)만이 있었을 뿐이다. 곧 조분-점해의 왕위 승계가 형제 상속이었지만 일시적인 것으로서, 조분이사금의 장자 유례이사금이 다시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는 원칙적으로 왕위 계승이 이전 왕의 적장자로 계승되었음을 반영한다.

다시 조분-유례로 이어지는 왕통이 끊기게 되자 걸숙의 아들 기림이사금이 왕위를 승계하였다. 『삼국사기』에서 기림이사금이 조분이사금의 손으로서 왕위를 이은 것이라 하였던 것은, 조분이사금의 왕통을 그의 주3인 걸숙을 주4으로 하는 기림으로 잇게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
『삼국유사(三國遺事)』

단행본

선석열, 『신라 왕위계승 원리 연구』(혜안, 2015)
정구복‧노중국‧신동하‧김태식‧권덕영, 『역주 삼국사기 3』 주석편(상)(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2)
이종욱, 『신라 상대 왕위계승 연구』(영남대학교출판부, 1980)

논문

박남수, 「『삼국유사』 기이편 「내물왕 김제상」 · 「제18실성왕」조와 신라의 정치과정」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40, 경주사학회, 2019)
박미선, 「신라 진지왕 폐위에 관한 재검토-신라 상대 왕위계승 원리와 관련하여」(『온지논총』 55, 온지학회, 2018)
주석
주1

신라 제11대 왕(?~247). 성은 석(昔). 감문국(甘文國)을 정벌하여 군(郡)으로 만들고 왜병의 침입을 물리쳤으며, 골벌국(骨伐國)의 항복을 받았다. 재위 기간은 230~247년이다.    우리말샘

주2

책장(冊張)이나 편(篇), 장(章) 따위의 차례가 잘못됨. 또는 그런 책장이나 편, 장.    우리말샘

주3

양반과 양민 여성 사이에서 낳은 아들.    우리말샘

주4

대종가에서 여럿으로 갈려 나간 방계.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