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 복성동 고분군 ( )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유적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읍에 있는 삼국시대 앞트기식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읍에 있는 삼국시대 앞트기식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개설

약목읍 서쪽의 수물산으로부터 그 동남쪽인 읍으로 뻗은 지역에 300여 기가 남아 있다. 오래 전부터 도굴되어 지금은 외형상으로 완전한 고분이 거의 없다.

1923년에 처음으로 조사되었으나 발굴기록이 남아 있지 않으며, 1961년에 경북대학교 조사단에 의해 다시 1기가 발굴되었다. 이 때 발굴된 고분은 약목초등학교 북쪽 능선의 경사면에 위치한다.

내용

봉분은 지름이 21m이며, 높이는 북쪽에서 1m, 남쪽에서 5m인 원분이다. 내부구조는 봉분 중앙부에 토광을 파고 장방형의 거대한 석실을 마련하였다. 석실을 중심으로 반지름 약 7m되는 낮은 토류석열(土留石列)을 돌렸다. 그리고 남쪽의 토류석열 밖으로 다시 작은 석곽 하나가 배치되어 있었다.

고분은 횡구식석실분(橫口式石室墳)으로 석실의 외면을 붉은 진흙으로 두껍게 다졌고 그 위에 잡석이 많은 진흙을 50㎝ 가량 덮은 다음 다시 잡토를 쌓아 봉분을 이루었다.

장축방향은 동서이며, 규모는 길이 5.8m, 높이 1.4m, 너비는 중앙에서 1.35m, 양 끝쪽은 1.2m였다. 긴 벽은 판석을 8매씩 1열로 세웠고, 동·서단벽은 각각 판석 1매씩으로 막았다. 천장은 거대한 5매의 판석으로 덮었고, 바닥은 유물을 두었던 부분과 시체가 놓였던 부분을 구분해 크기가 다른 자갈로 얇게 깔았다.

부장품은 다양한 토기가 대량 출토된데 비해 귀금속과 장신구는 1점도 발견되지 않았다. 고분이 교란된 흔적도 없고 석실의 규모가 거대한데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점이 특기할 만하다.

출토유물은 무기류로 길이 77.5㎝의 철대도(鐵大刀) 1점, 도자(刀子) 1점, 창 1점, 활촉 다수, 마구류로 철등자(鐵鐙子) 1쌍, 교구(鉸具) 2점, 운주편(雲珠片) 다수가 출토되었다. 토기는 경질토기(硬質土器)로서 높이 91㎝의 대옹(大甕) 1점, 대형 감대(大形坩臺) 3점, 대형 기대(大型器臺) 1점, 대부장경호(臺附長頸壺) 4점, 장경호 2점, 유개식고배(有蓋式高杯) 17점, 무개식고배 4점, 이부배(耳附杯) 2점, 단경호 1점, 영배(鈴杯) 1점과 적색연질토기(赤色軟質土器)로서 소형 광구호(小形廣口壺) 1점, 소형 배(小形杯) 4점, 소형 기대(小形器臺) 4점 등이 출토되었다.

참고문헌

『야목고분조사보고(若木古墳調査報告)』(윤용진, 경북대학교박물관, 1962)
「若木の古墳」(藤田亮策, 『大正十一年度古蹟調査報告』 1, 1924)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윤용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