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만달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북한 황해북도 승호구역에 있는 석기시대 구석기의 인류화석 · 동물화석 · 석기 등이 출토된 동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황해북도 승호구역에 있는 석기시대 구석기의 인류화석 · 동물화석 · 석기 등이 출토된 동굴.
개설

평양에서 동쪽으로 약 40㎞ 떨어진 승호구역 만달리에 있다. 만달리 유적의 남쪽에는 대동강의 지류인 남강이 거의 동서로 흐르고 있다. 이 동굴은 남강에서 약 100m 떨어져 있다. 제2단구에 해당되는 이 유적은 1979년 10월과 1980년 5∼8월에 발굴되었다.

내용

동굴 안의 층위는 중기 구석기문화층에서 신석기문화층까지 셋으로 나누어졌다. 이 유적에서는 사람뼈화석(만달인)과 함께 석기와 뼈도구를 비롯한 많은 짐승뼈화석이 발굴되었다.

아래층인 중기 구석기문화층에서는 5목 13과 34종의 많은 양의 동물화석이 출토되었다. 이들은 사멸종이 6종으로 33.3%를 차지해 승리산 유적의 사멸종 34.9%와 비슷하다. 이렇게 볼 때 중국 산정동 동물상보다는 이르며, 승리산 동물상보다는 늦은 시기로 후기 홍적세의 이른 시기로 보인다.

또한 층서상 의의가 있는 표준화석의 짐승은 말·동굴사자·동굴곰의 3종이다. 이 중 말·동굴하이에나 등이 상원 검은모루보다는 뒷시기인 승리산·대현동 것과 비교되며, 후기 홍적세 초로 보인다. 아울러 짝굽류〔偶蹄類〕가 식육류에 비해 많고, 홑굽류〔奇蹄類〕가 적은 것은 후기의 특성을 반영한다. 대다수의 짐승들로 볼 때, 당시 만달리 일대는 지금보다는 더운 온대성 기후였을 것으로 보인다.

가운데층인 후기 구석기문화층에서는 사람뼈화석과 석기·뼈도구·동물화석이 출토되었다. 짐승은 4목 9과 12속 13종으로 166개의 짐승뼈의 최소 마리수는 38마리이며, 설치목 3마리(7.9%), 토끼목 2마리(7.9%), 식육목 8마리(21%), 짝굽목 3마리(7.9%)를 차지한다. 특히, 사슴과 짐승이 많은데(전체 화석수의 29.7%), 이것은 우리나라 짐승상의 발전에서 늦은 시기에 해당한다. 아울러 빙하기 이후에는 없는 사멸종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가운데층은 후기 홍적세의 마지막 시기인 대략 2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

출토된 석기는 모두 13점으로 흑요석 9점, 차돌 3점, 규암 1점이다. 특히, 8점의 좀돌날몸돌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 6점은 쐐기모양, 1점은 배모양, 1점은 원판모양이었다. 윗면과 뒷면은 대부분이 자연돌의 겉면 그대로이지만, 다른 곳들은 큼직큼직하게 격지를 떼어냈거나, 떼어내어 다듬은 자리들이 뚜렷이 나타나 있다. 특히, 옆에는 정(釘)이나 끌 같은 도구를 대고 때린 돌날떼기수법의 긴 격지자리들이 보인다.

뼈연모는 연장자루(사슴뿔 2점)와 송곳모양이 10점 출토되었다. 연장자루 1점은 단검이나 뚜지개자루로 보인다. 앞끝쪽을 파내고 가운데에 석기를 넣고 묶어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 1점은 양끝을 잘라낸 것으로 21㎝쯤 된다. 송곳모양의 연장은 사슴뿔 4점, 짐승뼈 6점으로 만들어졌다. 동물화석은 노루발뼈, 짐승의 뒷발뼈, 하이에나 아래턱조각(넙적끝), 주걱뼈, 다리뼈 등이 나왔다.

의의와 평가

석기와 사람뼈가 나온 층은 가운데층으로 그 아래층 (Ⅰ∼Ⅳ층)의 짐승화석들과는 층위를 달리하고 있다. 아래의 짐승화석 중에서 동굴하이에나와 옛소는 후기 홍적세 후기로 보인다. 이처럼 사람뼈화석과 함께 훌륭한 배모양·쐐기모양 좀돌날몸돌석기가 출토된 것을 볼 때, 이 유적은 우리나라는 물론 아시아의 후기 구석기시대 연구에 크게 주목되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승호3호동굴에서 새로 알려진 만달 짧은턱하이에나에 대하여」(김신규, 『조선고고연구』 1987년 4호, 사회과학출판사)
「승호구역 만달리동굴유적」(김신규·김교경·백기하·장우진·서국태, 『유적발굴보고』 1985년 14집, 과학백백과사전출판사)
「새로 발견된 만달리동굴유적」(김교경, 『력사과학』 1981년 4호,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집필자
이융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