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1책. 필사본. 1959년 아들 영식(瓔植)이 편집하였으나 그 체재가 완전하지 않다. 권두에 송창(宋滄)의 서문이 있다. 전북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19수, 권2에 제문 11편, 설(說) 2편, 변(辨) 1편, 서(序) 6편, 기(記) 1편, 통문(通文) · 가묘(家廟) · 고사(告辭) 등 8편, 권3에 논(論) 7편, 경의문답(經義問答), 권4에 유하연언(牖下衍言), 부록으로 만사(挽詞) 5수, 제문 · 고유문 각 1편, 묘지명 2편, 애도문(哀悼文) · 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문에 의하면, 그의 시문은 글쓰는 데만 급급하지 않아 말이 거리낌없고, 이치가 정연하며, 야비한 기운이 없어 의리가 엄정하고, 충후(忠厚)한 뜻이 넘쳐 요즘의 글과는 다른 바가 있다고 하였다.
설은 모두 경사(經史)의 의의(疑義)에 대한 의견을 적은 것이고, 「명실변(名實辨)」은 명과 실이 너무나 차이가 있음을 당시 사회의 한 병폐로 생각하여 쓴 글이다. 논은 중국의 역사적 사실이나 경의에 대한 내용이다.
「경의문답」은 모두 28항에 걸쳐 경의를 논한 것으로 주로 『논어』 · 『대학』 · 『중용』의 내용인데, 각 사항에 대하여 비교적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경학연구에 참고자료로 평가된다.
「유하연언」은 객(客)을 등장시켜 성리학에 관한 자기의 생각을 요약한 것이다. 첫째 이기설(理氣說), 둘째 조선을 포함한 도통(道統)의 연원(여기에서는 이이(李珥)와 기정진(奇正鎭)의 학문적 관계와 이통기국(理通氣局)에 대한 설명이 자세하다.).
셋째 기발이승(氣發理乘), 넷째 인간의 기질(氣質), 다섯째 자설(字說), 여섯째 『역경』에 대하여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