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재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활동한 학자, 조운현의 시 · 서(書) · 논 · 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활동한 학자, 조운현의 시 · 서(書) · 논 · 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필사본. 1871년(고종 8) 홍석모(洪錫謨)가 시고(詩稿)의 제사(題辭)를 쓴 것이 있으나 구체적인 서문이나 발문이 없어 편집의 내력을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91수, 권2에 서(書) 14편, 권3에 제문 6편, 논(論) 6편, 서(序) 1편, 기(記) 4편, 발(跋) 1편, 설(說) 5편, 잡저 8편, 권4에 부록으로 뇌문(誄文) 2편, 만사(輓詞) 5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자연스럽고 소박하다는 평을 받았다. 논 중 「위무기절부구조론(魏無忌窃符救趙論)」과 「개자추론(介子推論)」 등은 모두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인물을 논평한 글로, 그 논법의 통쾌함이 송(宋)나라 여조겸(呂祖謙)의 필치와 비슷하다.

잡저 중 「요서(潦書)」는 평소 생활하는 가운데에서 체험하고 느낀 것을 적어놓은 일종의 견문록으로 모두 16장으로 되어 있다. 그 내용 중에는 당시의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것이 많다. 「구뢰(狗誄)」에는 개의 충직한 성품이 잘 묘사되어 있고, 그밖에 부록에 실린 뇌문과 만사는 저자에 대한 것이다.

참고문헌

규장각 해제(kyujanggak.snu.ac.kr/home)
집필자
조창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