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화사연구 ()

근대사
문헌
한국사학자 이광린이 1880년대의 개화 문제에 관해 서술하여 1969년에 간행한 학술서.
정의
한국사학자 이광린이 1880년대의 개화 문제에 관해 서술하여 1969년에 간행한 학술서.
개설

A5판. 296면. 1969년 일조각(一潮閣)에서 발간하였다.

이 논저는 11편의 논문이 ① 개화사상 연구, ② 개화운동 연구, ③ 개화기의 인물과 그 활동의 3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1974년 1편의 논문이 추가된 개정·증보판이 314면으로 발행되었다.

내용

1880년(고종 17)대의 개화 문제를 다루고 있는 이 논저는, 주로 온건개화파의 사상과 활동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먼저 개화사상에 관한 연구를 보면, 청나라 말에 위원(魏源)이 서양에 대한 지식을 알리기 위해 저술한 『해국도지(海國圖志)』가 개화사상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다룬 「해국도지의 한국 전래와 그 영향」이 있다.

「개화사상연구」라는 논문에서는 개화의 개념이 1870년대는 개국(開國)의 의미로 이해되다가, 1880년대 들어서는 외국 기술의 수용에 의한 부국강병으로, 1890년대와 1900년대에는 국권과 민권을 지칭한다는 전제 아래, 주로 1880년대의 개화사상을 논급하였다.

저자는 이 시기의 개화를 실학의 연장에서, 동도서기론적(東道西器論的)인 입장이었다고 보고, 개화사상가에게 영향을 준 외국 서적들과 개화사상을 소개하였다. 개정·증보판에는 「이언(易言)과 한국의 개화사상」이 추가되었다. 청말 정관응(鄭觀應)이 저술한 『이언』이 개화사상에 미친 영향을 다룬 이 논문은 특히 『이언』이 한글로까지 번역, 출간되었다는 사실도 밝혔다.

개화운동에 관한 연구로는 온건개화파에 의해 박문국(博文局)에서 발간된 근대적인 신문에 대한 연구인 「한성순보(漢城旬報)와 한성주보(漢城周報)에 대한 일고찰」을 들 수 있다. 또 1886년 정부에서 세운 최초의 신식학교인 육영공원(育英公院)에 대한 고찰인 「육영공원의 설치와 그 변천」, 1885년부터 1911년까지 영어·일어·한어(漢語)·법어(法語)·아어(俄語, 1904년 폐지)·덕어(德語) 등을 교수한 외국어학교에 관한 「한말의 관립외국어학교」가 포함된다.

아울러 「미국 군사교관의 초빙과 연무공원(鍊武公院)」에서는 미국인 군사교관에 의해 1888년부터 1894년까지 존속되었던 연무공원에 대한 연구와, 1883년 보빙사(報聘使)를 수행하여 미국에 간 최경석(崔景錫)이 1884년에 설립한 모범농장에 관한 「농무목축시험장(農務牧畜試驗場)의 설치에 대하여」라는 논문까지, 5편의 개화운동에 대한 논문이 실렸다.

이 논문들은 관립교육기관을 통한 서양 문화의 수용과, 농장을 통한 서양 기술의 수용 사례를 다룬 것들이다. 즉, 주로 정부와 온건파 개화사상가들에 의한 개화정책의 구체적인 사례연구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화운동은 대체로 지속적이지는 못했던 것으로 이해하였지만 그러한 움직임이 결국 한국에 개화사상을 보급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 부분은 개화기에 활동한 인물을 주로 서지적인 관심과 아울러 소개하였다. 「안종수(安宗洙)와 농정신편(農政新編)」·「이수정(李樹廷)의 인물과 그 활동」·「근세조선정감(近世朝鮮政鑑)에 대한 몇 가지 문제」·「미국유학 시절의 유길준(兪吉濬)」이 그것이다. 유길준을 제외하면, 개화사상가로서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인물들을 소개한 이들 논문은 개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예컨대,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의 수원(隨員)이었던 안종수가 일본을 통해 근대적인 농업기술을 소개하였다는 사실이라든지, 수신사(修信使)를 따라 일본에 갔던 이수정이 개신교신자가 되어 성서번역에 참여한 사실이 이 논문들에 의해 밝혀졌다. 또, 개화당에 속한 박제형(朴齊炯)이 저술한 『근세조선정감』의 소개와 그에 관련된 문제나, 유길준의 미국 유학 시절의 여러 사실도 여기에서 밝혀졌다.

저자는 이 논저를 간행한 이후에도 꾸준히 개화파와 개화사상에 대한 관심을 보여, 1970년대에는 『개화당연구』(일조각, 1973)와 『한국개화사상연구』(일조각, 1979)라는 논저를, 1980년대에는 『한국개화사의 제문제』(일조각, 1986)와 『개화파와 개화사상연구』(일조각, 1988) 등의 연구서를 저술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논저는 한국 근대사에 있어 개항 이후의 한국 사회를 개화기라는 용어로 새롭게 부각시킨 역저이다. 개별적인 주제를 실증적인 방법으로 연구, 근대사의 흐름을 이해하는 전초작업이기도 하였다. 이 연구에 힘입어 이후 근대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될 수 있었던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 논저는 1960년대 한국사 연구의 한 이정표가 되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참고문헌

「현대한국의 명저(名著) 100권」(김경태, 『신동아(新東亞)』, 1985.1 별책부록)
「한국사회과학명저해제(韓國社會科學名著解題)」(한흥수, 『정경문화(政經文化)』, 1984.1)
「서평(書評) 한국개화사연구(韓國開化史硏究)」(정창렬,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 5, 1970)
「서평(書評) 한국개화사연구(韓國開化史硏究)」(천관우, 『역사학보(歷史學報)』 42, 1969)
「이광린 선생(1925~2006)의 삶과 학문」(최기영, 『서강인문논총』 46, 2016)
집필자
최기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