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동굴학회 ()

과학기술
단체
동굴연구를 위한 학술단체.
정의
동굴연구를 위한 학술단체.
설립목적

동굴의 개발과 보전, 그리고 자연학습현장으로서의 동굴의 조사·연구를 통하여 환경보전과 개발이용에 기여하며,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국제간의 문화교류를 도모할 목적으로 박노식(朴魯植)·홍시환(洪始煥) 등이 중심이 되어 1973년 6월에 서울에서 설립되었다.

기능과 역할

1975년부터 매년 1회 총회와 학술대회를 개최하는 한편, 일본의 동굴단체들과의 동굴문화교류를 실시하였다. 1998년까지 매년 2회의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우수한 연구논문을 발표하고 있고 12월에는 이들 연구 중 학술상을 시상함으로써 학술연구를 장려하고 있으며, 이들 논문을 중심으로 학술지 ≪동굴≫을 연 2회씩 발간하다가 최근에는 연 4회로 증간하여 1998년 현재 56호까지 출간하였다.

한편, 학회지의 부록으로 ≪한국의 석회동굴≫·≪한국의 용암동굴≫·≪제주도동굴조사보고≫ 등 3권을 발간하였으며, 2차에 걸친 일본의 동굴조사와 제주도의 동굴조사를 한국과 일본의 합동조사로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제주도가 세계적인 화산동굴의 보고임이 확인되었다.

즉, ‘빌레못동굴’은 단일화산동굴로서는 세계 제1위(길이 1만 1,749m)이고 협재동굴계도 세계 제1위(길이 1만 7,175m)이며, 만장굴(萬丈窟)동굴계는 1만 5,678m로 세계 제2위의 화산동굴계임이 확인되었다.

그 밖에 세계 제일의 용암주(熔岩柱)·용암구(熔岩球)·용암순(熔岩筍)·규산석주(硅酸石柱) 등도 이 제주도동굴에서 발견되었다.

이상의 제주도동굴 학술조사 외에 문화재관리보전법에 의거하여 국내에 있는 동굴의 안전진단 및 환경대책 조사, 재개발계획 등의 학술용역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학회 산하에 동굴환경연구소를 비롯한 6개의 연구소를 설치하여 학술용역을 돕고 있다.

현황

회원은 현재 400여 명이고 전국에 14개의 지회와 일본을 비롯한 미국·러시아·중국·브라질 등에 해외 지회가 설치되어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