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가집 ()

목차
구비문학
문헌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민속학자 김태곤이 각 지역 무가와 의식 절차, 관련 용어 등을 수록한 무가집.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민속학자 김태곤이 각 지역 무가와 의식 절차, 관련 용어 등을 수록한 무가집.
내용

전체가 4권으로 원광대학교 민속학연구소 ‘한국민속총서’로 집문당(集文堂)에서 발행하였다. 1권(A5판, 392쪽)은 1971년 5월에 출간되었으며, 서울·부여·고성·강릉·울진·영덕 지방의 무가가 수록되어 있고, 부록으로 무속 용어 해설 색인이 첨부되어 있다.

2권(342쪽)은 1971년 1월에 출간되었으며, 광주(光州)·순창·군산·목포·해남·고흥·안동·인천·해주 지역의 무가 자료와 부록으로 서울 지역 집가심, 서산 지역 무경, 무속용어 해설 색인 등이 실려 있다. 3권(416쪽)은 1978년 3월에 발간되었으며, 평양·함흥·화성·고창·광주 지역의 무가 자료와 부록으로 무속 용어 해설 색인이 담겨 있다.

4권(276쪽)은 1980년에 간행되었으며, 영일 지방의 무가 자료와 함께 부록으로 별신굿의 탈굿과 호탈굿, 서사무가 각 지역 무가보·무가 창자 명단·찾아보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에 실린 무가 자료는 편자가 각 지역의 전형적 대표무(典型的代表巫)를 선정하여 현지에서 녹음하고 그 녹음테이프를 굿을 할 때 다시 대조, 확인하여 이상이 없을 때 채록한 것이다.

기록에 있어서는 띄어쓰기·맞춤법은 현행(발간 당시) 국어 문법에 의하되, 방언이나 무속 전문 용어는 그 발음되는 원음을 그대로 옮겼다. 무가 사설이 평이한 가락으로 창되는 대목은 ‘창(唱)’, 가락이 붙지 않는 대화나 설명 대목의 말은 ‘말’, 또는 창 중의 삽입가요는 구별할 수 있도록 ‘노래’라는 표시를 하여 구분해 놓았다.

각 지역 무가마다 앞에서 무가와 의식 절차에 대한 전반적인 해설을 하여 무의식 절차에 따르는 무가의 용도를 밝히고, 무속의 전문 용어와 특수한 방언 및 기타 특수 용어는 낱낱이 알기 쉽게 풀이하여 주석하였다. 이 무가 자료의 녹음테이프는 원광대학교 민속학연구소에 분류, 보관되어 수시로 대조 청취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영구 보존되어 있다.

1937년 아끼바(秋葉隆)·아까마쓰(赤松智城) 의하여 『조선무속의 연구(朝鮮巫俗の硏究)』가 나온 이후 30여 년 만에 한국 사람에 의한 무가 자료집으로서 이 책이 나옴으로써 잇따른 무가 자료집의 출간이 이루어졌으며, 한국 무속 연구의 밑거름이 되었다.

집필자
김대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