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수수께끼 (의 수수께끼)

목차
구비문학
문헌
이종출이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수수께끼 자료 2,500여 종을 수록하여 1965년에 편찬한 수수께끼집.
목차
정의
이종출이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수수께끼 자료 2,500여 종을 수록하여 1965년에 편찬한 수수께끼집.
내용

A5판. 226면. 1965년 형설출판사(螢雪出版社)에서 발행하였다. 이 책에는 이보다 앞서 출간된 수수께끼 자료집들을 참고로 하면서 그 밖에 편자가 조선대학교 학생들을 통하여 수집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수수께끼 자료가 약 2,500종 수록되어 있다.

수록의 형태는 수수께끼를 문제 중심이 아니라 해답 중심으로 하여 같은 해답의 문제가 어떻게 달리 이루어지고 표현되고 있는가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꺼꾸로 놓고 봐도, 바로 놓고 봐도, 바로 보이는 것, ○내가 웃으면 저도 웃고, 언제나 자기의 흉내를 내는 것, ○물건은 하나인데 우리가 보면 자기도 보는 것, ○젖히면 보름이요 엎으면 그믐이 되는 것 등 모두 해답은 ‘<거울>’이다.

이 책의 배열은 해답의 첫머리 단어들의 발음에 따라 자음 : ㄱㄲㄴㄷㄸㄹㅁㅂㅃㅅㅆㅇㅈㅉㅊㅋㅌㅍㅎ, 모음 : ㅏㅐㅑㅖㅓㅔㅕㅐㅗㅙㅛㅜㅝㅞㅟㅠㅡㅢㅣ 순서로 하고(따라서 문제의 전체배열은 ㄱㄴㄷ 순이 아니다.), 같은 해답의 문제가 여럿일 경우는 다시 문제의 첫머리 단어들의 발음에 따라 위의 해답을 배열한 자음 모음 순서와 같이 배열하였다.

각 문제의 첫머리에는 ○표를 하고 해답을 < > 속에 고딕활자로 하여 눈에 잘 띄게 하였으며, 그 다음 문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표 아래 간단한 힌트 정도의 주석을 달았다.

모든 수수께끼의 문제와 해답은 표준말로 고쳐 싣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문제 자체가 사투리〔方言〕로 이루어진 것은 주석을 달거나 ( ) 속에 표준말을 적어 놓았다.

집필자
김대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