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규직 ()

근대사
인물
개항기 공조판서, 협판군국사무, 혜상공국총판 등을 역임한 관료.
이칭
순좌(舜佐)
다옥(茶玉)
시호
충숙(忠肅)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45년(헌종 11)
사망 연도
1884년(고종 21)
본관
청주(淸州)
출생지
서울
정의
개항기 공조판서, 협판군국사무, 혜상공국총판 등을 역임한 관료.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순좌(舜佐), 호는 다옥(茶玉). 서울 출신. 부사 한승렬(韓承烈)의 아들이며, 한말에 참정대신을 지낸 한규설(韓圭卨)의 형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64년(고종 1) 19세로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에 제수된 뒤, 중추부경력(中樞府經歷)·함안군수·상주진영장(尙州鎭營將)·경흥부사·금위영천총(禁衛營千摠)·길주목사·경상우수사 및 좌수사 등 외방의 무관직을 역임하였다. 1881년 전라도병마절도사가 된 뒤 곧이어 좌변포도대장에 임명되었다.

1882년 초 잡아들인 용의자 5인을 혹독하게 다스려 죽게 한 죄로 순안에 유배되었다. 때마침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국왕의 특명으로 풀려나, 죄를 용서받고 다시 좌포도대장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우포도대장에 개임되었다가 곧이어 총융사(摠戎使)가 되어 융단(戎壇)에 올랐다. 이어서 다시 어영대장으로 임명되어 사대당 내각의 중진으로 그 자리를 굳혀 갔다.

같은 해 9월 권지협판(權知協辦)이 되고 다시 공조판서·협판군국사무(協辦軍國事務), 군무사(軍務司)를 거쳐 신설 교련소인 친군전영(親軍前營)의 감독까지 겸임하였다. 1884년 초에는 다시 기기국(機器局)과 혜상공국(惠商公局) 총판을 겸하였다.

8월 전영사(前營使)가 되어 이전에 별도 설치된 연융대(鍊戎臺)를 통해 모든 군사 훈련을 통할하였다. 이때 그 동안 박영효(朴泳孝)가 양성하던 신식 군대까지 친군전영에 편입, 개화파로부터 군권을 빼앗아 이때부터 개화당과 반목하는 불편한 사이가 되었다.

같은 해 12월, 개화당이 우정국 낙성 축하연을 이용해 갑신정변을 일으키자 피신, 병졸로 변장하고 창덕궁으로 가 국왕을 만나려 하였다. 그러나 김옥균(金玉均)의 방해로 퇴궐하다 경우궁(景祐宮) 문전에서 이규완(李圭完) 등에게 살해되었다. 좌찬성에 추증되고, 충장(忠壯)이란 시호를 받았으나 훗날 충숙(忠肅)으로 고쳐졌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갑신일록(甲申日錄)』
『매천야록(梅泉野錄)』
집필자
이완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