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령 ()

목차
국악
작품
조선시대 궁중의 연례악(宴禮樂)과 행악(行樂)에서 연주되던 곡명.
이칭
이칭
서일화지곡(瑞日和之曲)
목차
정의
조선시대 궁중의 연례악(宴禮樂)과 행악(行樂)에서 연주되던 곡명.
내용

‘서일화지곡(瑞日和之曲)’이라고도 한다. 「해령」은 「여민락영」의 변주곡으로 「여민락영」의 전체 32악절 중 제1절부터 제16절까지를 변주시킴으로써 생성된 곡이다.

그 변주방법은 본곡의 음과 음 사이에 간음(間音)을 삽입하거나 앞뒤에 장식음을 붙여 길게 늘이고 「본령」에 비하여 느린 시가(時價)로 연주된다.

이와 같이 본곡인 「여민락영」을 ‘풀어 연주한다’ 하여 이를 ‘해령’이라 하며 따라서 변주하지 않은 본래의 「여민락영」은 「해령」에 대하여 「본령」으로 불리게 되었다.

「해령」연주의 악기편성은 「보허자」·「낙양춘」·「여민락만」과 같이 당피리·대금·당적·해금·아쟁·좌고·장구 등으로 당피리가 중심이 된다. 그러나 현재에는 「해령」이 행악으로서의 기능이 사라지고 무대 연주용 음악으로 변함에 따라 방향 대신 편종과 편경이 사용되고 있다.

음악의 구성음은 황종·태주·중려·임종·남려의 5음으로 평조선법으로 되어 있는데 음의 진행에서 간혹 협종과 무역이 출현하기도 한다. 한편, 「해령」은 연음(連音)의 연주방식이 들어 있는 대표적인 악곡으로 꼽히는데, 이는 「해령」이 「본령」과 함께 연악이나 행악에 주로 사용되는 음악의 기능과 밀접히 관련된다.

즉, 의식 진행에서 음악의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때 관악기군의 연음방식을 이용하여 반복과 생략을 가능하게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전 16악절로 이루어진 중에서도 반복되는 부분이 많은데, 오늘날 무대에서 연주할 때는 반복되는 부분을 많이 생략하고 5·6악절만을 연주하는 것이 보통이다. 곡풍은 매우 장엄하고 유장한 느낌을 준다.

참고문헌

『국악통론』(서한범, 대림출판사, 1981)
「現行 解令의 音樂的 考察」(이기설, 『예술문화논총』 2권, 서원대학교 미래창조연구원, 199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