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튼타령 (허튼)

목차
국악
작품
삼현육각 편성으로 연주하는 민속무용 음악.
목차
정의
삼현육각 편성으로 연주하는 민속무용 음악.
내용

타령이라는 말은 본래 향토음악이라는 뜻으로 두루 쓰였던 것 같고, 조선시대 중기부터 성악곡과 기악곡에 자주 나온다.

오늘날에도 타령이라는 이름은 여러 분야의 성악곡에 보이고 기악곡에도 「영산회상」에서 타령, 삼현육각으로 연주하는 행진음악으로 길타령·별우조타령, 민간 무용음악으로 쓰이는 허튼타령·자진타령·봉완사타령 등이 있다. 이들 타령은 서로 관련이 있을 것이나 이에 대한 것은 아직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영산회상」에서 타령은 조선 영조 때 서유구(徐有榘)가 엮은 『임원경제지』의 유예지(遊藝志) 중 현금자보(玄琴字譜)에 보이고, 그 뒤 오늘날까지 많은 악보에 보이나 허튼타령은 고악보에 보이지 않는다.

허튼타령이 민속음악이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 음악이 고정 선율이 아니고 글자 그대로 허튼가락, 즉 비고정 선율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주로 승무·검무·북춤(舞鼓)·한량무(閑良舞)와 같은 민간 무용, 「양주별산대놀이」·「봉산탈춤」과 경기도 무무(巫舞)에서 반주음악으로 쓰인다.

장단은3소박 보통 빠른 4박자(8분음 12박자)로 허튼타령 장단이라 한다. 허튼타령은 빠르기에 따라 느린 허튼타령·중(中) 허튼타령·잦은 허튼타령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느린 허튼타령 장단은 3소박 좀 느린 4박자(8분음 12박자)이며, 잦은 허튼타령 장단은 3소박 좀 빠른 4박자(8분음 12박자)이다.

선율의 구성음은 솔·라·도·레·미로 경토리로 되어 있으나, 수심가토리와 같은 시김새(표현기법)가 깔려 있다. 허튼타령은 허튼가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절의 구분이 없고, 장(章)이나 마루도 가르지 않는다.

허튼가락이기 때문에 시나위의 경우와 같이 대목대목 다성적(多聲的)인 구조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매우 흥겹고 씩씩한 느낌을 준다.

참고문헌

「삼현육각소고(三絃六角小考)」(이보형, 『문화재』 15, 월간문화재사, 197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