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욱 ()

목차
관련 정보
서예
인물
일제강점기 독립기념관 장건상선생어록비문, 구례 화엄사 일주문 편액, 불국사 종각 편액 등의 작품을 낸 서예가.
이칭
석전(石田), 백련산인(白蓮山人)
이칭
남고산인(南固山人), 칠봉거사(七峰居士)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8년(고종 35)
사망 연도
1992년
출생지
전라북도 고창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독립기념관 장건상선생어록비문, 구례 화엄사 일주문 편액, 불국사 종각 편액 등의 작품을 낸 서예가.
내용

호는 석전(石田) · 남고산인(南固山人) · 칠봉거사(七峰居士) · 백련산인(白蓮山人). 전라북도 고창 출신. 가학으로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웠다. 1920년 금강산 돈도암(頓道庵)에 들어가 서예에 정진하였는데, 왕희지(王羲之)와 조맹부(趙孟頫)의 법필을 중심으로 서예공부를 하였다.

1930년 32세 때 고향인 고창으로 돌아와 15년간 신위(申緯)를 사숙하며 서예에 정진하는 한편, 주1를 익혀 거문고와 글씨에 마음을 의지하는 은둔생활로 일관하였다. 이때 그는 행서(行書)에 탁월한 경지를 이루어 친교가 있던 정인보(鄭寅普) · 김성수(金性洙) 등의 격찬을 받았다.

황욱이 서예가로 세상에 알려진 것은 1973년 75세 때 전주에서 지방유지들의 초대로 회혼기념서예전을 열면서부터였다. 1960년경부터 오른손 수전증으로 붓을 잡기 어렵게 되자, 왼손바닥으로 붓을 잡고 엄지로 붓꼭지를 눌러 운필하는 악필법(握筆法)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중풍으로 오른손에 마비가 와서 좌수서예가로 유명했던 유희강(柳熙綱)과 쌍벽을 이룬다는 평을 들었다.

1974년 동아일보사 후원으로 열린 서울 작품전(문예진흥원미술관)을 필두로 1991년 역시 동아일보사 주최의 회고전 때까지 해마다 전시회를 갖는 노익장을 과시하며 서울 서예계에 널리 알려졌다. 그의 악필 행초서(行草書)는 역대서법이나 기교를 초월한 기세(氣勢)의 웅강(雄强)과 순박, 그리고 초탈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악필로 인하여 미세한 점획의 처리가 어렵게 되자 그는 행간의 운율과 운필의 단순화에 의하여 격을 유지하는 독특한 경지를 체득하였다.

법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자칫 특징을 찾기 어려운 많은 서예가들 가운데 그의 글씨가 유독 돋보이는 것은 이 같은 무기교(無技巧)와 육예에 의한 탈속의 초연한 인품에서 유래된 것이란 평도 있다. 대표적인 금석문으로 독립기념관 장건상선생어록비(張建相先生語錄碑)와 구례 화엄사 일주문, 불국사 종각, 금산사 대적광전(大寂光殿) 등의 편액이 있다.

참고문헌

『석전황욱회고전(石田黃旭回顧展)』(동아일보사, 1991)
『석전황욱초대전(石田黃旭招待展)』(동아일보사, 1981)
주석
주1

고대 중국 교육의 여섯 가지 과목.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數)를 이른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종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