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바둑판처럼 글자를 배열하여 중앙으로부터 선회하면서 읽어도 뜻이 통하는 것도 있다. 말하자면 순독(順讀)·역독(逆讀)·선회독(旋回讀)이 가능한 시가 회문시이다. 그러나 후대에는 선회독의 시는 없어졌다.
회문시의 시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이인로(李仁老)의 『파한집(破閑集)』에서는 중국 진(秦)나라 소백옥(蘇伯玉)의 처가 지었다는 「반중시(盤中詩)」와, 두도(竇滔)의 처 소혜(蘇蕙)가 지었다는 「직금회문시(織錦回文詩)」를 들었다.
회문시는 진(晋)나라 이후에 유행을 이루었다. 부함(傅咸)의 「회문반복시(回文反覆詩)」, 조식(曺植)의 「경명팔자(鏡銘八字)」, 양(梁) 나라 간문제(簡文帝)의 「회문사선명(回文紗扇銘)」, 진(陳)나라 유왕(留王)의 「회문(回文)」과 왕융(王融)의 「춘유(春遊)」 등이 대표적이다.
그 뒤로는 소동파(蘇東坡)의 「제직금화(題織錦畫)」·「금산사(金山寺)」 등이 유명하다. 송대까지의 회문시는 상세창(桑世昌)이 엮은 『회문유취(回文類聚)』에 망라되어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시대부터 회문시가 유행하였다. 그 중에서도 이지심(李知深)이 잘 지었고, 죽림고회(竹林高會)에 참여하였던 문사들도 즐겨 썼다. 특히, 이규보(李奎報)는 21수나 되는 많은 회문시를 지었다.
그 중에서도 이수(李需)의 30운 회문시를 보고 지은 「차운이시랑수이회문화장구설시(次韻李侍郞需以回文和長句雪詩)」 30운이 유명하다. 이밖에도 형군소(邢君紹)·달전(達全) 등이 있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김시습의 「춘하추동사절시(春夏秋冬四節詩)」 4수가 유명하다. 그 한수를 예로 든다.
순독(順讀) 역독(逆讀)
紅杏山桃溪寂寂 飛燕乳鶯啼舍北
小塘春草夢依依 暖風香霧鎖城東
東城鎖霧香風暖 依依夢草春塘小
北舍啼鶯乳燕飛 寂寂溪桃山杏紅
<춘하추동사절시>의 순독한 내용은 “붉은 살구 산호두는 시냇가에 쓸쓸이 섰고/작은 연못가의 봄풀은 꿈 속에 아른거린다/안개에 잠긴 동쪽 성에는 봄바람 따뜻하고/꾀꼬리 우는 북쪽 집에는 제비새끼 난다.”이다.
<춘하추동사절시>의 역독한 내용은, “나는 제비 어린 꾀꼬리는 집의 북쪽에서 울고/봄안개는 따뜻한 바람을 타고 성 동쪽에 잠긴다/아련한 꿈 속의 풀은 봄연못에 돋아나고/쓸쓸한 시냇가의 복사와 산살구는 익어간다.”
위의 시는 이처럼 역독을 하거나 순독을 하거나 어색하지 않은 한 편의 시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회문시는 문자 속의 장난에 불과한 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