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석조여래좌상은 풍만한 얼굴에 당당한 모습, 그리고 대좌 형식에서 그 조성연대가 통일신라시대 하대인 9세기의 작품으로 판단된다. 결가부좌로 앉아 왼손에는 약함을 들고 있어 약사여래상임을 알 수 있다.
불상의 얼굴은 후대에 보수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마모가 심한 편이나 어깨와 무릎의 폭이 넓어 균형 잡힌 안정적인 자세에 당당한 모습이다. 머리에는 둥근 육계(肉髻)를 표현하였고, 나발(螺髮)은 마모되었다. 착의는 오른팔에 편삼을 입고 오른쪽 어깨를 덮은 대의가 복부를 돌아 그 끝자락이 왼쪽 어깨 뒤로 걸쳐 있으며 가슴에는 비스듬하게 흘러내린 승각기(僧脚崎)를 입었다. 마모로 옷주름의 표현은 정확하지 않다. 뒷면의 오른쪽 상단부에는 가사와 편삼이 교차하는 꼬임이 아주 사실적으로 조각되었다. 이러한 착의 표현은 경주 남산 삼릉곡 석조약사여래좌상(8세기 말)이나 대구 동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863년)과 비교되는데, 옷주름은 보다 부드럽게 표현되었다. 뒷면 등 중앙에 뚫린 방형의 작은 구멍은 따로 만든 거신형 광배를 부착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대좌도 파손되어 현재 상대와 중대의 윗면만 조금 남았으며 중대는 팔각형인데 형식상 통일신라 8~9세기에 유행했던 형식이다.
불상 뒷면의 오른쪽 상단부에는 가사와 편삼이 교차하는 꼬임이 아주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는데, 이는 통일신라 하대의 다른 작품들과 비교되는 특징을 지닌다. 이 석조여래상은 통일신라시대 하대인 9세기의 약사여래상으로서 당시의 불상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