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옥 ()

신상옥
신상옥
영화
인물
해방 이후 「사랑방손님과 어머니」, 「연산군」, 「빨간마후라」 등의 작품에 관여한 영화인. 영화감독, 영화제작자.
이칭
이칭
신태서(申泰瑞)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6년 10월 18일
사망 연도
2006년 4월 11일
출생지
함경북도 청진
관련 사건
최은희 실종사건|신상옥·최은희 탈출사건
정의
해방 이후 「사랑방손님과 어머니」, 「연산군」, 「빨간마후라」 등의 작품에 관여한 영화인. 영화감독, 영화제작자.
생애/활동사항

본명은 신태서(申泰瑞)이다. 학생시절 미술을 전공했다. 경성중학교(鏡城中學校) 2학년 시절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하였고, 1944년 동경미술학교에 입학했으나 1945년 징병을 피해 조선으로 돌아왔다. 8·15 광복 후 영화감독 최인규 문하에서 일했다.

1949년 독립하여 영화감독 겸 제작자로 활동했다. 데뷔작인 「악야」는 전쟁으로 1952년 개봉되었다. 1954년 「코리아」를 제작하며 알게 된 배우 최은희와 결혼했다. 이후 신상옥프로덕션을 운영하며 「꿈」(1954),「젊은 그들」(1955),「무영탑」(1957),「지옥화」(1958),「어느 여대생의 고백」(1958),「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1959),「로맨스 빠빠」(1960) 등을 연출했다.

1950년대 후반부터 영화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자 1960년 신상옥프로덕션을 ‘신필름’으로 확장한 후, 「성춘향」(1961),「사랑방손님과 어머니」(1961),「연산군」(1962),「폭군연산」(1962),「쌀」(1963),「로맨스그레이」(1963),「빨간 마후라」(1964),「벙어리 삼룡이」(1964),「대원군」(1968),「이조여인 잔혹사」(1969) 등을 연출했다.

그러나 1960년대 중반 이후 ‘신필름’의 무리한 확장으로 부도를 맞아 사명을 바꾸는 등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급기야 1975년 신프로덕션의 대만 합작영화인「장미와 들개」(1975)의 예고편이 검열 받지 않았다는 이유로 회사 허가를 취소당했다.

1978년 홍콩에서 납북되어 1986년까지 북한에서 활동했다. 1980년 북한에서 ‘신필름’을 재건해「돌아오지 않는 밀사」(1984),「소금」(1985),「탈출기」(1984) 등을 제작·연출했다. 1986년 오스트리아 빈의 미대사관을 통해 북한을 탈출했다. 1990년 헐리우드에서 「닌자키드(3Ninjas)」(1992)를 제작했으며 한국에서는 「마유미」(1990),「증발」(1994) 등을 연출했다. 1994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을 지냈으며, 2000년에 한국으로 영구 귀국했다. 2006년 지병으로 사망했다.

그는 대부분의 연출작에서 촬영을 함께 했으며 뛰어난 테크닉으로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연출한 1950∼1960년대 한국영화를 대표하는 영화감독이었다. 또한 1960년대 영화산업화의 선두에 선 ‘신필름’의 운영자로 영화산업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 했다.

상훈과 추모

1962년 제5회 부일영화상 작품상·감독상(사랑방손님과 어머니), 1962년 제1회 대종상 작품상(연산군), 감독상(사랑방손님과 어머니), 1962년 제9회 아시아영화제 최우수극영화작품상(사랑방손님과 어머니), 1963년 제2회 대종상 작품상(열녀문), 1964년 제11회 아시아영화제 감독상(빨간마후라), 1965년 제4회 대종상 작품상·감독상(벙어리 삼룡이), 1965년 제12회 아시아영화제 감독상(쌀), 1968년 제7회 대종상 작품상·감독상(대원군), 1969년 제15회 아시아영화제 감독상(이조여인 잔혹사), 1971년 제17회 아시아영화제 감독상(전쟁과 인간), 1972년 대종상 감독상(평양폭격대), 1973년 제10회 청룡영화상 작품상(삼일천하)을 수상하였다. 그의 사후 한국영화계에 끼친 지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영화제국 신필름』(조준형, 한국영상자료원, 2009)
『난, 영화였다』(신상옥, 랜덤하우스, 2007)
『한국영화감독사전』(김종원, 국학자료원, 2004)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www.kmdb.or.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한상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