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국 최고사령부 ( )

목차
현대사
제도
1945년 10월 2일부터 1952년 4월 28일까지 일본에 있었던 연합국 사령부.
목차
정의
1945년 10월 2일부터 1952년 4월 28일까지 일본에 있었던 연합국 사령부.
내용

연합국 최고사령부(SCAP: Supreme Commander of the Allied Powers, GHQ: General Headquarters, 일본어 명칭: 聯合國軍最高司令官總司令部)는 일본이 태평양전쟁에서 패전한 이후 1945년 10월 2일부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효(1952.4.28) 때까지 6년 반 동안 일본에 있었던 연합국 사령부이다.

초기에는 미국이 단독으로 일본을 점령·통치했으나 1946년 2월 26일 11개국으로 구성된 극동위원회가 발족한 이후 이 위원회가 일본관리에 대한 기본정책을 결정했다.

연합국 최고사령부는 부관부, G·1(인사), G·2(정보), G·3(작전), G·4(군수) 등 일반 참모부와 민정국, 경제과학국, 법무국, 천연자원국, 민간정보교육국, 민간운수국, 일반회계국 등 점령과 관련된 전문부서로 구성되었다. 군사문제에 관해서는 미 합동참모본부의 통제를, 일반 민정 문제에 관해서는 미 국무부의 지시를 받았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까지 미군정의 점령지 정책 결정 구조는 다음과 같다. 미국 정부 내 삼성조정위원회(SWNCC) 산하의 극동소위원회에서 수립된 기본정책이 삼성조정위원회의 심의·결정 과정을 거쳐 국무성에 전달되면, 국무성이 이를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연합군 사령부가 주한 미군정청에 하달하는 방식이었다. 현실적으로 군정청의 행정은 현지 주둔군 사령관(하지 중장)과 미 태평양사령관(맥아더 원수)의 재량권이 클 수밖에 없었다.

최고사령관 맥아더의 관할권은 필리핀과 일본, 그리고 한국과 대만을 포괄하고 있었다. 한국에 관한 지침과 정책, 정보 수집은 참모장 아래 일반참모부가 주도했고 부참모장 휘하의 각 국을 통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전쟁 이전의 맥아더의 대한인식」(이상호, 『정신문화연구』28, 2005)
『해방 후 1950년대의 경제 : 공업화의 사적 배경 연구』(이대근, 삼성경제연구소, 200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