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철법 ()

목차
관련 정보
회화
개념
그림 속의 형태에 입체감을 나타내기 위하여 먹이나 채색의 농도를 조절하는 화법(畵法). 태서법 · 요철화.
이칭
이칭
태서법(泰西法), 요철화(凹凸花)
정의
그림 속의 형태에 입체감을 나타내기 위하여 먹이나 채색의 농도를 조절하는 화법(畵法). 태서법 · 요철화.
개설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움푹 들어간 곳과 불쑥 튀어나온 곳을 표현하는 기법이다. 회화(繪畵)에서는 이차원(二次元)의 화면에 대부분의 경우 삼차원(三次元)적인 물체를 묘사하여야 한다. 동양화주1은 비수(肥瘦)의 변화, 즉 한 개의 필선에도 굵은 부분과 가느다란 부분의 변화를 주면서 물체의 입체감 표현을 어느 정도 이루어 낼 수 있으나 그것만으로는 분명히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일찍부터 이나 색채의 주2을 조절해가며 광선의 방향을 참작하면서 물체를 입체감 있게 표현하는 기법이 발달하였다.

연원 및 변천

오랜 동안 동양화에서의 요철법은 서양의 고전미술에서 유래한 입체감의 표현기법이 인도와 서역(西域)을 거쳐 중국으로 전해졌다고 믿었다. 즉 서역 출신의 화가 주3에게 전칭되어오는 「오성이십팔수도(五星二十八宿圖)」(오사카 시립미술관 소장)를 보면 이전의 중국회화에서 거의 볼 수 없었던 강렬한 음영구사를 볼 수 있어 이것이 중국회화의 요철법의 기원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그 후 발굴된 한대(漢代)의 기원전 2세기 중엽경의 마왕퇴비의(馬王堆飛依)에도 어느 정도의 농담변화에 의한 입체감 표현이 시도된 것이 보이므로 요철법이 반드시 서역에서 전래된 것이라는 견해에 수정을 가하게 되었다.

중국에서 본격적으로 서양화법을 받아들이게 된 것은 16세기 말기부터 서양의 야소회(耶蘇會 주4선교사들이 중국에 들어온 후 부터이다. 중국의 지식인들이나 문인화가들은 입체감 표현에 의한 사실주의 그림들을 보고 감탄하는 한 편, 필법(筆法)이 결여된 그림으로 간주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7세기 말기 내지 18세기 초부터 주5들을 통하여 들어온 서양화법이 초상화, 동물화, 산수화 등 모든 분야에 폭넓게 수용되었다. 즉 초상화와 동물화에서의 사실적(寫實的) 입체감의 표현, 산수화에서 산의 입체감은 물론 거리감의 표현까지도 가능하게 되었다.

의의와 평가

현대회화에는 이러한 기초적인 기법에 개의치 않고 이차원의 화면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다양한 표현을 시도하고 있지만 요철법은 모든 사실적 회화 기법의 기본 요소이므로 그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그림속의 서양화법』증보개정판 (이성미, 소와당, 2008)
『中國美術通史』二(王伯敏 主編, 山東敎育出版社, 1987)
「동아시아에 전래된 서양화법의 원류와 양상」(한정희,『미술사연구』,29, 2015)
주석
주1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드러나는 붓의 선. 우리말샘

주2

색깔이나 명암 따위의 짙음과 옅음. 또는 그런 정도. 우리말샘

주3

중국 남조 양(梁)나라의 궁정 화가(?~?). 도교와 불교의 인물화에 뛰어나 사원의 벽화를 많이 그렸으며, 감각적인 미를 표현하고 서양 화법의 영향을 받은 요철화(凹凸花)를 창시하였다. 우리말샘

주4

‘예수회’의 음역어. 우리말샘

주5

조선 시대에, 베이징으로 가던 사신. 우리말샘

집필자
이성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