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갑 ()

과학기술
물품
갑옷의 표면에 작은 금속 조각을 물고기 비늘처럼 붙여 만든 갑옷.
정의
갑옷의 표면에 작은 금속 조각을 물고기 비늘처럼 붙여 만든 갑옷.
연원 및 변천

조선 후기에 새롭게 나타난 갑옷 양식으로 갑옷에 사용되는 조각(札;철편)의 종류에 따라 두석린갑주, 도금동엽갑 등이 있었으나 형태상으로는 어린갑으로 통칭할 수 있다.

구조 및 형태

어린갑은 목면을 서너 겹으로 겹쳐서 두터운 의복을 만들고, 그 안에 비단이나 삼승포를 덧댄 뒤, 의복의 표면에 황동(豆錫)으로 만든 물고기 비늘 모양의 작은 조각을 리벳으로 촘촘히 박아서 만든다. 두석린갑주는 맨 바탕으리 두석 조각과 주칠ㆍ흑칠을 한 조작을 번갈아 가면 배치했고, 도금동엽갑주는 모든 조각을 금으로 도금하여 황금갑옷으로 만들었다. 갑옷의 어깨 윗 부분에는 용 모양의 견철(肩鐵)이 달려 있고, 갑옷 테두리에는 모피털을 둘렀다.

어린갑은 미늘 조각을 황동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방로력이 낮을 뿐만아니라 조각 하나하나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외부의 충격을 제대로 분산시키기 어려운 구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비실용적인 갑옷이 제작된 것은 순전히 그 화려한 외양때문이었으며, 주로 고위 장수의 의장용으로 사용되었다.

구한말 조선을 방문한 서양인들이 두석린갑옷의 독특한 외양을 선호했기 때문인지 두석린갑옷이 선물용으로 외국인에게 선물된 사례들이 있다.

현재 고려대박물관에는 보존 상태가 좋은 두석린갑주가 한 점 소장되어 있다. 이 두석린갑주는 표면을 붉은 색 모직으로 덥고 두석 미늘조각을 촘촘히 달았으며, 안감은 옥색 명주를 사용했고 도련에는 수달피를 사용하여 화려하게 장식했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의서례』
『한국의 갑주』(이강칠, 문화재관리국, 1987)
『한국무기발달사』(김기웅 외, 국방군사연구소, 1994)
『한국군복식발달사』(국방군사연구소, 1997)
『조선시대의 갑주』(박가영, 2003)
『조선의 무기와 갑옷』(민승기, 가람, 2004)
『우리나라의 전통무기』(박재광 외, 전쟁기념관, 2004)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국사편찬위원회 편, 경인문화사, 2010)
집필자
박재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