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호산 천주교 유적 ( )

천주교
유적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비봉면에 있는 천주교구 성지(聖地).
유적
관련 인물
손선지, 정문호, 한재권, 이명서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비봉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천호산 천주교 유적(天壺山 天主敎 遺蹟)은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비봉면에 있는 천주교 전주 교구 성지이다. 1840년대에 천주교 신자들이 생활하면서 공소(公所)가 되었다. 병인박해(1866년)에서 순교한 손선지, 정문호, 한재권, 이명서 성인(聖人)의 유해가 모셔져 있으며, 봉안 경당과 피정의 집이 있다. 2011년에 천호 공소는 준봉당으로 승격되었다.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비봉면에 있는 천주교구 성지(聖地).
개설

천주교 박해 시대의 ‘천호(天呼)’ 마을은 “천주(天主, 주1의 이름을 부르며[呼] 살아간다.”라는 뜻을 지닌 천주교인들의 거처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천호’라는 명칭은 이 마을을 둘러싼 천호산(天壺山)과도 연관이 있다. ‘천호산’은 ‘하늘 아래 호리병[壺]처럼 둘러싸인 외진 산골’ 또는 ‘순교자들의 피를 가득 머금은 병 모양의 산골’이라는 뜻으로 풀이될 수 있다. 이 역시 순교자들의 시신이 이곳에 묻히고 그 후손들이 삶의 터전으로 살아오면서 형성된 지명이다. 천호산 일대에는 가장 큰 마을이자 중심지인 천호(다리실, 용추내)를 비롯하여, 산수골, 어름골, 낙수골, 불당골, 성채골, 시목동 등 모두 7개의 공소가 형성되었으나, 현재는 천호 본당과 천호 성지가 자리 잡고 있다.

변천

천호 지역에 천주교 신자들이 거처한 것은 1839년 기해박해(己亥迫害)를 전후한 시점이다. 주로 충청도의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이곳으로 이주하여 현재 순교 성인들의 묘역 맞은편인 무능골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1840년대에 다리실(천호) 공소가 설립되었으며, 초대 회장으로 박준성이 임명되었다.

1866년, 전주 숲정이에서 참수형으로 순교한 6명의 성인 중 손선지(18201866, 베드로), 정문호(일명 기식(基植), 18011866, 바르톨로메오), 한재권(일명 원서, 18361866, 요셉)의 후손들이 1867년 1월, 숲정이 인근(현 진북사 밑)에 가매장된 시신을 다리실(손선지 이장)과 시목동(정문호와 한재권 이장. 후에 손선지 무덤 옆으로 이장)에 이장하고 천호산 일대에 피신하여 생활하였다. 1877년에는 블랑(Blanc, 백규삼(白圭三), 18441890) 신부가 어름골에 정착하여 사목활동을 하였다.

성역화 과정

1909년, 베르몽(Bermond, 목세영(睦世榮), 1881~1967) 신부의 주도로 되재 본당과 천호 공소 회장들이 힘을 합쳐 45만 평 정도의 천호 일대 산지를 2,000냥에 매입하였다. 1923년에는 1866년에 순교한 천주교 신자들의 주2을 위해 묘소를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천호에는 그해(1923년) 6월 11일에 방문하여 손선지 성인과 김성화(야고보) 외 6인의 무덤과 연고자 미상의 두 분묘 터를 확인하였다. 1939년, 기해박해 순교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손선지 성인과 김성화(야고보) 외 6위의 순교비 주3을 거행했다.

1977년, 김진소 신부는 1923년에 작성된 「다리실 병인 순교자 분묘 조사기」를 입수하여 분석하고, 신원 미상의 두 분묘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 그의 노력은 1983년 5월 10~13일, 천호 성지 순교자 묘지 주4 · 시굴 작업으로 이어졌다. 그 결과 정문호와 한재권의 유해를 발굴할 수 있었다.

1987년에는 전주 교구 설정 5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천호 성지 내에 피정의 집을 건립하고 8월 31일에 봉헌식을 하였다. 1988년 10월, 이명서 성인의 유해가 천호 성지에 안장되었다.

천호본당

2006년, 낡은 공소 건물을 철거했다. 2008년 5월, 새로운 경당(經堂)주5을 하였다. 2011년 1월, 천호 성지 김영수 신부를 주임으로 천호 공소를 준본당으로 승격하였다. 주6주7이다. 2022년 12월 31일 현재, 51세대 141명의 신자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진소, 『천주교 전주교구사』Ⅰ·Ⅱ (빅벨출판사, 1998)
『2022년 교세통계표』 (천주교전주교구, 2023)

인터넷 자료

천주교전주교구(http://www.jcatholic.or.kr)
주석
주1

가톨릭에서, 신봉하는 유일신. 천지의 창조주이며 전지전능하고 영원한 존재로서, 우주 만물을 섭리로 다스린다. 우리말샘

주2

죽은 뒤 복자품(福者品)에 오르는 일. 또는 죽은 뒤에 복자품에 올리는 일. 우리말샘

주3

동상이나 기념비 따위를 다 만든 뒤에 완공을 공포하는 의식. 보통 동상이나 기념비를 흰 헝겊으로 씌워 두었다가 연고 있는 사람이 걷어 낸다. 우리말샘

주4

땅속이나 큰 덩치의 흙, 돌 더미 따위에 묻혀 있는 것을 찾아서 파냄. 우리말샘

주5

축성을 행하는 거룩한 의식. 곧 예식과 기도를 통하여 사람이나 물건을 축성하는 교회의 의식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6

‘수호성인’의 전 용어. 우리말샘

주7

가톨릭에서, ‘바돌로매’를 이르는 이름.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