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문 ()

현대문학
작품
1914년, 동미서시에서 간행된 최찬식의 신소설.
작품/문학
발표 연도
1914년
간행 연도
1914년
작가
최찬식
원작자
최찬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금강문」은 1914년 동미서시에서 간행된 최찬식의 신소설이다. 혼사 장애 서사에 작중 인물의 금강산 여행기가 접목되었다. 여주인공은 부모님이 정한 결혼 약속을 지키기 위해 결단과 모험을 감행한다. 최찬식 소설에서 익히 볼 수 있는 서사로서 전근대와 근대적 속성이 결합되어 있다. 작중 인물들이 금강산으로 모이는 과정이 우연적이고 그 과정에서 금강산 풍경이 구체적으로 그려져 있어, 작가가 의도적으로 금강산 여행기를 작중에 담으려 했다고 보는 의견이 있다. 의병이 폭도로, 헌병이 안내자로 그려져 있는 등 친일적 색채를 담고 있다.

정의
1914년, 동미서시에서 간행된 최찬식의 신소설.
간행 사항

1915년 동미서시 재판본에 초판 연도가 1914년으로 기재되어 있다. 현재 초판본은 찾을 수 없다. 1922년 박문서관 간행본까지 5판이 간행되었다.

구성

여성 수난사를 기본 구조로 하였으며 ‘일부이처(一夫二妻)’의 결혼으로 막을 내린다. 작중 인물의 금강산 여정이 마치 여행기처럼 그려져 있다.

내용

재동 소학교의 김교원은 나이 사십이 돼서야 딸 경원을 얻는다. 경원은 자라서 여학교에 다니는데 재능이 출중하다. 한편, 재동 소학교에 다니는 이정진은 똑똑하나 성품이 나쁘다. 그는 경원을 괴롭히려다 경원에게 질책을 듣고 성품을 고친다. 김교원은 정진의 집에 혼담을 넣고 정진과 경원의 혼인 약속을 맺는다.

김교원과 그의 부인이 죽고 경원은 어린 나이에 고아가 된다. 포천에 사는 경원의 외삼촌 전목통은 경원의 재산을 빼앗을 목적으로, 자신의 온 집안 식구들을 거느리고 서울로 온다. 전목통의 부인은 경원을 모함하여 정진의 어머니로 하여금 파혼하게 하고, 자신의 오촌 조카 구소년과 경원을 혼인시키려 한다. 경원은 혼인날에 집을 떠나고 갖은 고생과 우여곡절 끝에 백화암에 들어가 비구니가 된다.

어느 날 경원은 백화암 노승과 금강산 여행을 떠나는데 금강문을 지나다 구소년을 만나 위험에 처한다. 한편, 정진은 경원과 파혼하고 울적한 심사를 달래려 인천에서 배를 타고 영국 유학길에 오른다. 그런데 배가 파괴되어 주1을 타고 표류하다가 강원도에 닿아서, 서울로 돌아가는 길에 금강산을 지난다. 그러던 중에 정진은 마침 위험에 처한 경원을 만나서 구해 준다. 폭도들이 창궐하는 금강산에서 헌병 토벌대의 인도로 경원과 정진은 무사히 서울에 온다.

경원과 정진은 혼사 날짜를 정한다. 예전에 정진의 어머니가 경원과 정진을 파혼시키고 송현 윤국장의 딸과 정진을 정혼시켰는데, 그 딸이 몸져누웠다는 소식을 들은 경원은 윤국장의 딸과 자신이 함께 정진과 결혼하겠다고 말한다. 모두 그 말에 찬성하고 함께 결혼식을 올린다.

의의와 평가

혼사 장애 서사에 작중 인물의 금강산 여행기가 접목된 작품이다. 여주인공이 자신의 뜻을 지키기 위해 결단과 모험을 감행한다. 하지만 결국 그 여주인공이 지키려 한 것이 부모가 정해 준 혼사라는 점, ‘일부이처(一夫二妻)’를 승인한다는 점에서 근대적이며 주체적인 여성의 모습과는 거리가 있다.

헤어진 두 남녀는 금강산에서 해후하는데 그 과정에서 금강산의 구체적인 풍경이 기술된다. 최찬식은 잡지 기자로서 다양한 논설과 기사를 썼는데 그중 금강산 여행기도 있다. 이러한 글쓰기가 소설에 삽입된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은 금강산에 출몰하는 의병들을 폭도로 칭하고 있다. 작중 인물은 폭도로 인해 위험에 처하나 일본 헌병대의 도움으로 구조되고 집까지 돌아온다. 재판소와 검사의 취조 장면도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는데, 그 장면이 합리적이며 공정하게 그려져 있다는 점에서 식민 권력의 장치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최찬식, 『금강문』(동미서시, 1915)

단행본

조동일,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논문

김홍련, 「최찬식 문학 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최원식, 「1910년대 친일문학과 근대성」(『한국계몽주의문학사론』, 소명출판, 2002)
최진옥, 「신소설에 나타난 가족 살해 모티프와 가족주의 고찰—최찬식의 소설을 중심으로—」(『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한국현대문학회, 2013.2)
주석
주1

큰 배에 딸린 작은 배.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