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승 ()

회화
인물
일제강점기 「모녀」 · 「춘향전」 등을 그린 화가. 한국화가.
이칭
이칭
예당(藝堂)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2년
사망 연도
1946년
정의
일제강점기 「모녀」 · 「춘향전」 등을 그린 화가. 한국화가.
활동사항

호 예당(藝堂). 이당(以堂)김은호(金殷鎬)에게 사사했으며, 1936년 김은호의 문하생들이 발족한 동양화 그룹 후소회(後素會) 회원으로 활동했다. 스승 김은호의 영향으로 채색인물화에 뛰어났다.

대표작으로 「모녀」, 「춘향전」을 들 수 있는데, 1936년 작 「모녀」는 현모양처의 이미지라 할 수 있는 전통적인 복장을 한 단정한 여인을 묘사한 작품이다. 1937년 작 「춘향전」은 극세필의 채색을 위주로 한 미인도이다. 촘촘한 머리카락의 표현, 옷선 등이 세필로 처리되었다. 한국적 여인상의 상징인 춘향이를 소재로 한 이 작품은 촛대, 소반 등의 소도구들에서 한국적 기물을 사용했으나 표현기법에 있어서는 신일본화풍을 보여준다.

해방 직후 일본색을 청산하고 전통회화의 민족적 정통성을 회복한다는 의지를 내세웠던 단구미술원(檀丘美術院)에서 이응로, 장우성, 이유태, 배렴, 김영기, 조중현, 정홍거, 정진철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상훈과 추모

제16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춘향전」 입선.

참고문헌

『화단풍상 칠십년』(장우성, 미술문화, 2003)
『미술 속의 여성-한국과 일본의 근·현대미술』(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한국 전통회화의 큰 흐름과 새지평」(최병식, 『현대미술연구소논문집』4권, 경희대학교 현대미술연구소, 200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