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조대금 ()

국악
물품
가로로 부는 관악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가로로 부는 관악기.
개설

산조, 시나위, 민요, 민속무용음악 반주 등 민속악을 연주할 때 사용되는 대금이다.

연원 및 변천

민속악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음악적 기교를 쉽게 연주하기 위해 기존에 있던 정악대금(正樂大笒)을 개량하여 만들었다.

구조 및 형태

정악대금의 구조, 형태와 동일하지만 규격, 음역 등이 다르다. 즉 하나의 대나무 관대에 취구(吹口), 청공(淸孔), 지공(指孔) 6, 칠성공(七星孔)이 뚫려 있다는 측면에서는 정악대금과 같다. 그러나 관대의 길이는 65센티미터 혹은 70센티미터로, 80센티미터 내외의 길이를 지니는 정악대금에 비해 10∼15센티미터 가량 짧다. 관대 길이의 축소로 인해 산조대금의 음역은 전체적으로 정악대금에 비해 단3도 가량 높아졌다. 또한 구경(口徑)은 4센티미터 정도로, 정악대금 보다 대략 1센티미터 정도 더 넓다.

이러한 악기 규격의 변화는 연주법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관대의 길이가 짧아지면 지공의 간격이 좁아져 빠른 음악을 연주하는데 편리하며, 넓은 취구는 다채로운 음악적 표현을 구사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산조대금은 민속악의 다양한 연주법을 표현하기 적합하도록 관대의 길이와 취구 부분을 개조하여 탄생된 악기이다.

제조 방법

산조대금의 제조방법은 정악대금과 같다. 채취한 황죽(黃竹)이나 쌍골죽(雙骨竹)을 불에 그을려 진을 뺀 후 음지에서 건조시킨다. 대나무의 내경(內徑)을 고르게 다듬고 악기 규격에 맞게 대나무 길이를 절단한다. 지공, 취구, 칠성공을 뚫고 관대에 줄을 감는다. 청을 붙인 후 청가리개를 덧댄다.

참고문헌

『한국악기』(송혜진 글 ‧ 강운구 사진, 열화당, 200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